제목 | 역사문화마을만들기 -봉현논배미마을 - 모내기 | ||||
---|---|---|---|---|---|
작성자 | 공주문화원 | 등록일 | 2003-06-10 | 조회 | 917 |
첨부 |
![]() |
||||
보 도 자 료
2003. 6. 3
발 신 : 「우리 문화·역사마을 만들기」 공주시 추진협의회(실무 : 조성 희) 수 신 : 각 언론사 문화·교육(사회) 담당 기자 제 목 : 전통농법과 세시풍속 체험을 통한 농경문화 복원을 추구하는 ''봉 현 전통문화 마을''(가칭) 전통 모내기 행사 거행
---------------------------------------------------------------------- --------------------------
1. 「우리 문화·역사마을 만들기」 공주시 추진협의회(협의회장 정재 욱 공주시문화원장)가 오는 6월 14일(토) 오후 2시 공주 우성면 봉현리 소 재 전통농사터에서 모내기 행사를 갖는다. 사라져가는 전통농법(논농사)을 재현함으로써 논농사와 노동요와 마을공 동체, 세시풍속들이 맞물린 농촌형 전통문화를 발굴·재조명·재구성하는 데 목적을 둔 봉현리 문화·역사 마을 만들기 사업의 일환으로 펼쳐지는 이 날 행사는 ''봉현리 모내기 소리''를 장단삼아 마을 주민들이 모두 모여 손모 를 심고, 막걸리잔을 기울이며 진행된다. 마을 주민들의 모내기 시연이 있 은 후에는 봉현리 마을 초중고생 및 도내 초중고 및 대학생, 일반인들이 마 을 주민들의 안내 아래 직접 모내기 및 노동요를 배우는 체험의 장도 진행 될 예정이다.
2. 2003년 문화관광부에서 공모한 「우리 문화·역사마을 만들기」사업 에 지정된 ''봉현리 문화·역사마을 만들기 사업''은 전통농법으로 짓는 논 농사 재현 및 체험프로그램화 논농사와 세시풍속이 결합된 전통문화체험 학교 운영 마을 전통문화 축제 되살리기 : 대보름 쑥불동화제 등 연 구 조사·활동을 통한 향토문화 발굴 및 재생 도농간·세대간 문화잇기 등을 주 사업내용으로 하고 있어, 앞으로도 다양한 전통문화 현장체험 행사 가 펼쳐질 것이다.
3. 이번 문화관광부의 「우리 문화·역사마을 만들기」사업 대상 마을로 지정된 충남 공주시 우성면 봉현리는 공주시와 청양군의 경계를 이루는 차 령산맥 주위에 위치한 오지로 타 지역과의 교류가 적어 마을 특유의 전통문 화가 비교적 원형 그대로 보존되어 주민들 일상 속에서 행해지고 있는 마을 로서, △ 봉현리 상여소리(달궁소리 : 충남 무형문화재 23호, 제37회 전국 민속예술경연대회 충남 대표로 출전, 장관상 수상) △ 대보름 쑥불동화 제 △ 보리풍년 윷놀리기(윷놀이), 지게놀이, 장치기 등 민속놀이 △ 자 리개질 소리, 김매기소리, 창부타령 등 민요 등 다양한 전통문화의 원형이 잘 보존되어 있으며, 다른 농촌마을과는 달리 마을 노인들을 중심으로 한 대동계, 청장년층의 동향체육회, 마을협의체인 자치발전위원회, 옛 봉현초 등학교(1999년 폐교)에서 열리는 마을학교 등 마을협의체를 통한 공동체 행 사 추진 경험이 풍부한 살아있는 농촌마을로서 2002년도에도 △ 대보름 쑥 불동화제 △ 봉현 마을축제 ''은행제''(길놀이 풍장, 인절미만들기, 짚풀공 예, 마을안녕기원제, 민속놀이, 풍물놀이, 탈춤공연 등) △ 봉현마을학교 (농촌형 교육·문화공동체) 개교 △ 추석맞이 체육대회 △ 마을 청소년 인성캠프(마을지도그리기, 마을의 보물찾기) 등을 마을 공동의 행사로 진행 하기도 했다.
※ 봉현리 전통농사터 오시는 길 ○ 공주시내 → 청양 예산 방향 8km→ 우성3거리에서 청양방향 우회전 3km → 공수원 4거리에서 모덕사 방향으로 우회전 4km → 옛 봉현초등학교(현 충남교육연구소) 뒤 ○ 청양정산 → 유구신풍 방향 3km → 해남면 모호리 입구로 우회전 → 고 개넘어 3km → 옛 봉현초등학교(현 충남교육연구소) 뒤 ○ 유구 신풍 → 신풍3거리에서 부여 정산 방향으로 우회전 2km → 첫 번 째 3거리에서 우성방향으로 좌회전 5km → 옛 봉현초등학교(현 충남교육연 구소) 뒤
문의 : (041) 855-1170 / 016-228-7915(조성희)
「우리 문화·역사마을 만들기」 공주시 추진협의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