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명사와 함께 하는 공주여행_ 제3회 소리꾼 이걸재 | ||||
---|---|---|---|---|---|
작성자 | 공주문화원 | 등록일 | 2010-06-16 | 조회 | 1439 |
첨부 | |||||
소리꾼 이걸재 약력 ○ 1956년 공주 출생 ○ 1980년 지방공무원 임용 ○ 충남문인협회, 충남 소설가협회 사무국장 역임 ○ 공주우성봉현리 상여소리, 신풍선학리 지게놀이, 의당집터다지기 발굴.(이상 충청남도지정문화재) ○ 1999년 공주의 소리마당 공연 시작 ○ 2009년 전국향토문화공모전 대상수상 ○ 현재 공주시청 공연기획 담당, 공주문화원 부원장 -주요 공연물: <공주의 각설이 타령>, <공주의 소리>, <아라리요> 등 -주요 창작공연물: <녹두장군 오셨네>, <터>, <구름지알>, <허숭애비춤> 등
♣ 강연 내용
1부 - 왜 공주의 소리를 시작했는가? 공주 소리 구음소리: 공주 특유의 소리로 노랫말이 없는 소리 중 대표적인 소리. 공주 창부타령: 경기 민요와 다른 가락과 노랫말의 창부타령. 공주의 가래질소리: 봄에 논두렁을 보수하는 농부들이 부르는 흥겨운 농요. 공주 아리랑(일명 술타령 아리랑): 느리고 흥청거리는 소리로 시작해서 흥겨움으로 끝나는 공주인들의 아리랑.
2부 - 왜 민족의 소리 아리랑을 공연 하게 되었는가? 아라리요 새아리랑: 광복 직후 연변 동포들이 희망을 찾기 위해 불렀던 아리랑. 냉산모판아리랑: 북한 동포들이 모내기에 동원된 처녀들을 위해 불렀던 영천아리랑의 현대곡. 백두산 새 아리랑: 길림성의 동포들이 백두산을 칭송하여 부른 아리랑. 독립군 아리랑: 독립군들이 군가로 불렀던 아리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