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메뉴 닫기
서브페이지 배경

컨텐츠

명사와 함께 하는 공주여행_ 제5회 이융조 교수 글의 상세내용

『 명사와 함께 하는 공주여행_ 제5회 이융조 교수 』글의 상세내용을 확인하는 표로 제목, 작성자, 등록일, 조회, 첨부, 내용으로 나뉘어 설명합니다.

제목 명사와 함께 하는 공주여행_ 제5회 이융조 교수
작성자 공주문화원 등록일 2010-08-20 조회 1364
첨부  

 『명사와 함께 하는 공주여행』

                         다섯 번째 이야기

     이융조 교수, 석장리발굴에 대하여    

    때: 2010828(토) 오후 1시  
    곳:
 공주문화원 강당 
 


이융조 교수 약력

· 공주사범학교 졸업(6회)                                             · 연세대학교 학사 · 석사 · 문학박사(1984)

· 러시아 크라스노얄스크 국립사범대학교  명예 고고학박사(2004)

· 중국과학원 고척추동물여고인류연구소   영예 이학박사(2006)  
· 충북대학교 교수(1976~2007) · 명예교수                     · 아시아구석기학회 부회장
· 한국전통문화학교 초빙교수                                       · (재)한국선사문화연구원 원장  


-강연 내용-


※ 석장리발굴에 대하여

위치 : 공주시 장기면 장암리 석장리 부락 (1964. 5. 14 발견)

발굴 : 1964~74년 (1~10차 연세대학교 박물관, 단장 손보기 관장)

          1990·1992 (11.12차 한국선사문화연구소 소장 손보기 교수)

의미 : 1)우리나라에서 첫 번째 발굴된 구석기유적

          2)한국의 역사를 구석기 시대로 상한을 올려놓음->단군의 할아버지에 관한 역사

          3)아시아의 구석기 문화에 대한 연결고리를 만듦

          4)우리말 석기 용어를 개척하고 사용함(주먹도끼·찍개·긁개·밀개·찌르개 등)

          5)전기->중기->후기구석기 등 30만년~1만년 전 전시기 석기문화 발달

          6)생활하였던 집터를 발굴(20,830년 전)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