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메뉴 닫기
서브페이지 배경
6월의 세시풍속 "단오" (음력 05월 05일 (2004년 06월 22일) 글의 상세내용

『 6월의 세시풍속 "단오" (음력 05월 05일 (2004년 06월 22일) 』글의 상세내용을 확인하는 표로 제목, 작성자, 등록일, 조회, 첨부, 내용으로 나뉘어 설명합니다.

제목 6월의 세시풍속 "단오" (음력 05월 05일 (2004년 06월 22일)
작성자 서산문화원 등록일 2004-05-31 조회 949
첨부  

창포(菖蒲) 


- 단오날 창포를 삶은 물에 머리를 감으면 윤기가 있고 부드러워진다고 하
여 주로 여자들이 창포물에 머리를 감는다. 창포를 삶을 때는 쑥을 함께 넣
어 끓이기도 함
단오날 아침에 상치잎에 묻은 이슬을 털어내어 세수를 함


오시목욕

- 단오 전날 저녁 물을 길러 두었다가 단오날 오시에 무병장수를 바라며 목
욕을 하였음

단오장

- 창포뿌리를 잘라 비녀 삼아 머리에 꽂기도 하였으며 양쪽에 붉게 연지를
바르거나 비녀에 수(壽)·복(福)자를 써서 복을 빌기도 하였음

단오놀이

- 쑥과 익모초뜯기, 부적만들어붙이기, 대추나무시집보내기, 단오비녀꽂
기, 그네뛰기, 씨름, 널뛰기, 활쏘기, 화초놀이, 돌싸움 등

단오선

- 단오날이 되면 더위가 시작되므로 왕이 직접 각 재상이나 시종들에게 헌
납받은 부채를 하사했던데서 유래되어 서로 부채를 선물함

- 종류 : 승두선, 어두선, 합죽선, 변죽선, 외각선, 내각선, 삼대선 등

단오음식

- 단오떡이라하여 쑥떡, 수리치떡을 해 먹으며, 단오날 아침 이슬맺은 쑥
과 익모초를 베어 말리면 약이 됨

- 인동초 말리기 : 인동초를 뜯어다 말려서 약초로 씀



유래

우리나라 4대 명절(설, 한식, 단오, 추석)의 하나로 수릿날, 천중절(天中
節), 중오절(重五節) 등으로 불리기도 함
일년 중 가장 양기(陽氣)가 왕성한 날이라 해서 큰 명절로 여겨져 왔으며,
모내기를 끝내고 풍년을 기원하는 기풍제(祈豊際)이기도 함
중국 초나라 회왕(懷王)때 굴원(屈原)이라는 신하가 간신들의 모함에 자신
의 지조를 보이기 위하여 멱라수에 투신자살하였는데 그날이 5월 5일이었
음, 그 뒤 해마다 굴원의 영혼을 위로하기 위하여 제사를 지내게 되었는
데, 이것이 우리나라에 전해져 단오가 되었다고 함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