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메뉴 닫기
서브페이지 배경
6월의 문화인물 백광홍 글의 상세내용

『 6월의 문화인물 백광홍 』글의 상세내용을 확인하는 표로 제목, 작성자, 등록일, 조회, 첨부, 내용으로 나뉘어 설명합니다.

제목 6월의 문화인물 백광홍
작성자 서산문화원 등록일 2004-05-31 조회 975
첨부  

(賦)에 능하여 당대 우리나라 여덟 문인(조선팔문장) 중 한 사람으로 손꼽 

혔으며, 특히 그 시대에 널리 불려졌던 가사 “관서별곡”의 작자이다.
그는 1522년 전라도 장흥의 사자산 아래에 있는 기산(岐山) 마을에서 태어
났다. 기봉이 태어나서 자란 사자산 기슭에는 ‘봉명재(鳳鳴齋)’라는 서당
이 있었다. 기봉은 어린 시절 이 서당에서 학문의 기초를 닦는데 전념했
다.
고향 마을에서 수학하던 기봉은 더 높고 큰 학문을 닦기 위해 향리를 떠나
당대에 저명한 학자를 스승 삼기로 했다. 그가 스스로 찾아가서 스승으로
삼은 사람은 시산(詩山, 지금의 태인)의 일재 이항(一齋 李恒, 1499~1576))
이었다. 또한 이 무렵 영천 신잠(靈川 申潛, 1491~1554)을 만나 자주 학문
과 철학을 논한 것으로 보인다. 이밖에 석천 임억령(石川 林億齡,
1496~1568), 하서 김인후(河西 金麟厚, 1510~1560), 송천 양응정(松川 梁應
鼎, 1519~1581), 고봉 기대승(高峰 奇大升, 1527~1572), 고죽 최경창(孤竹
崔慶昌, 1539~1583) 등의 제현과 깊이 있게 사귀며 덕업을 쌓았다.
기봉은 천품이 빼어나 뜻이 높았고 효성과 우애가 지극하여 행동 규범에 빈
틈이 없었다. 그는 벼슬보다는 학문에 뜻을 두고 오로지 성리학 연구와 시
창작에 몰두하였다. 그러나 부모의 권유를 뿌리치지 못해 1549년 28세의 나
이로 과장에 나아가 ‘사마양시(司馬兩試)에 합격하였다. 그리고 그로부터
3년 후인 1552년에 문과에 올라 홍문관 정자가 되었다. 이듬해 10월 명종
임금은 영·호남 문신들로 하여금 성균관에서 시문으로 글재주를 겨루게 하
였다. 여기에서 기봉은 “동지(冬至)”라는 부(賦)를 써서 장원을 했다.
이 때 명종 임금으로부터 상으로 하사받은 “선시십권(選詩十卷, 1999년 전
라남도 유형문화재 제207호로 지정)”은 지금도 전해 오고 있다.
1553년에는 그가 지향했던 학문의 길을 걸을 수 있는 기회가 생겼다. 순수
한 학문 연구 기관이라고 할 수 있는 “호당(湖堂)”에 뽑혔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것도 잠시, 호당에서 열심히 학문에 정진하던 기봉은 1555년 봄
에 뜻밖에도 평안도 평사의 벼슬을 제수 받게 된다. 이 때 평안도의 외직
에 부임한 기봉은 그 곳에서의 삶과 정취, 자연풍광을 시문으로 음영한바
많거니와 그 중 가사 “관서별곡(關西別曲)”은 널리 회자되었다. 이 작품
은 작자가 왕명을 받아 관서 지방을 향해 출발하는 것에서부터 부임지를 순
시하는 것까지의 기행 노정과 서경을 시적 운치로 그려낸 가사이다. 우리
문학사에서 보면 가사는 시조율을 가졌으면서 시조에 비해 길이가 긴 장편
의 노래라는 점에서 운문문학에서 산문문학으로 이행하는 교량적 역할을 담
당한 것으로 보고 있다. 따라서 기행가사는 다소 서사적 성격을 지니고 있
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특히 기봉은 한시 부문에서도 장시와 부에 능했고, 서사시적 성격을 지닌
작품도 몇 편 남기고 있다. 이는 그가 관서별곡이라는 기행서경가사를 최초
로 창작할 수 있었던 것과 무관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그가 지은 관서별
곡은 우리나라 기행서경가사의 효시로서 정철, 조우인, 위세직, 이상계,
위백규, 이중전, 문계태 등의 가사 창작에 직·간접으로 영향을 주었다. 특
히 25년 뒤 송강 정철이 지은 가사 “관동별곡(關東別曲)”에는 직접적 영
향을 주었다.
기봉은 안타깝게도 평안도 변방에 부임한 지 불과 1년여 만에 병을 얻게 되
어 더 이상 객지에 머무를 수 없게 되었다. 1556년 관직을 그만 두고 귀향
하던 도중 부안의 처가에서 작고하였으니, 그의 나이 35세였다. 이 때 그
의 스승 일재는 부음을 듣고 “문재와 학덕이 드물게 뛰어났는데 이를 크
게 펴지 못한 것이 아깝다며 매우 슬퍼하였다.”고 “일재유집(一齋遺集)”
에 기록되어 있다. 1808년 고향 마을의 기양사(岐陽祠)에 배향되었다.
그의 저서로는 1899년에 결집된 “기봉집(岐峯集)”이 있다. 기봉의 한시
130수와 가사 ‘관서별곡’이 이 문집의 핵심적 내용이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