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메뉴 닫기
서브페이지 배경
7월의 문화인물 "이첨" 글의 상세내용

『 7월의 문화인물 "이첨" 』글의 상세내용을 확인하는 표로 제목, 작성자, 등록일, 조회, 첨부, 내용으로 나뉘어 설명합니다.

제목 7월의 문화인물 "이첨"
작성자 서산문화원 등록일 2004-06-28 조회 1034
첨부  

문화관광부는 고려말, 조선초기의 문신으로 문장과 글씨가 뛰어났을 뿐만 

아니라 당대 최고의 시인으로 평가받고 있는 쌍매당 이 첨(李 詹, 1345∼
1405) 선생을 2004년 7월의 문화인물로 선정하고 기념사업을 전개한다.

쌍매당 이첨은 고려말 조선 초기의 정치적 급변기에 살은 학자며 관료이고
당대 최고의 시인이었다. 고려 제29대 충목왕 원년 1345년 현재의 충남 당
진군 신평에서 태어나 조선 태종 5년(1405)에 일생을 마친 그는 고려와 조
선 왕조의 일곱 왕의 글을 지은 학자 관료였다.

그의 아버지와 할아버지는 변변한 벼슬을 못했다. 13세에 아버지를 여의
고, 외가인 경남 창녕 영산현 계성(지금의 창녕군 장마면 유리)으로 이사
를 했으며 이곳은 그가 거의 말년까지 살았던 곳이다.

그는 21세 때에 과거에 합격하여 성균관 9재 학당에 입학을 하였고, 24세
때에 공민왕이 성균관에 행차하여 친시를 베푸는 시험에서 장원으로 급제하
였다. 그해(1368)에 곧바로 왕의 글을 짓는 임무를 맡은 예문관 검열직에
임용되어 고려 말까지 대간직, 비서실장의 직을 맡았다. 신돈의 정권에 대
항하였다가 강원도 통천군수로 좌천되기도 하였고, 우왕이 즉위하였을 때에
는 실권자 이인임 정권의 칭원외교에 대하여 파직되어 하동으로 유배를 갔
다. 이후 10년간 당시 왜구의 침략이 극심하였는데 정지 장군의 막하에서
보좌관으로 근무를 했다.

우왕 10년 중앙의 관직으로 복귀하여 다시 왕명을 쓰는 예문관직과 지제교
라는 직을 겸했다. 우왕 14년(1388) 요동정벌에서 이성계에 의하여 위화도
회군이 이루어지고, 정계는 조선 건국파와 중흥파로 분열 대립하였는데 이
때 그는 중흥파에 섰다. 그러나 공양왕이 즉위하여 비서직을 맡아 왕에게
{정관정요}를 2년간 강독을 하였고, 정몽주와 친밀한 관계를 유지했다. 그
는 공양왕 4년 4월 조선 건국파의 주동자를 유배 보내는 일을 김진양 등이
탄핵을 하자 왕의 결재를 받아 냈다. 그러나 곧 정몽주가 조선 건국파에 의
하여 살해됨으로써 정국은 급전 직하되어 결성(충남 홍성)으로 유배를 갔
고, 그해 7월 조선이 건국되자 곤장을 맞고 광주로 유배를 갔다. 유배에서
곧 풀려났으나 조선 태조 3년(1394) 충주의 맹인 점장이에게 국가의 운명
을 점친 일이 탄로나 다시 합포로 유배를 갔다가 풀려났다. 그러나 그의 지
식과 문장력을 필요로 하는 조선왕조에서는 그를 불러 이조 전서, 집현전
직학사 겸 지제교에 임용하였다. 이후 그는 죽을 때까지 성균관 대사성, 경
연춘추관사라는 문한직에 중책을 맡았다. 명나라에 두 번 사신을 갔다 왔
다. 태종 5년(1405)에 죽으니 시호를 문안(文安)이라 내렸다. 최후의 벼슬
은 정2품인 정헌대부 지의정부사였다. 그의 묘소는 당진군 송악면 오곡리
에 있다.

그는 고려말 조선 초기의 대학자로서 경전과 사학에 능통했으며, 7대왕의
글을 짓는 중책을 맡았다. 또한 그의 시는 당시 최고였다. 그는 역사가였
고, 교육자였다. 왕의 교육을 맡았고, 성균관 교육을 담당했다. 그가 쓴 글
은 그의 문집 {쌍매당협장문집} 25권이란 방대한 분량이었다. 아들 이소축
이 편집하여 목판으로 세종대에 출간하였으나 현재 권 1,2, 22-25가 전하
고 있다. 또한 그는 {고려사} 열전에 실려 있고, 태종실록에 그의 졸기(卒
記)가 수록되었다. 그는 {제범 帝範}, {사서절요 四書節要}, {동국사략}을
편찬하였으나 현재 전하지 않는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