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메뉴 닫기
서브페이지 배경
4월의 세시풍속 【삼짇날】 글의 상세내용

『 4월의 세시풍속 【삼짇날】 』글의 상세내용을 확인하는 표로 제목, 작성자, 등록일, 조회, 첨부, 내용으로 나뉘어 설명합니다.

제목 4월의 세시풍속 【삼짇날】
작성자 청양문화원 등록일 2002-04-03 조회 1593
첨부  

【삼짇날】 음력 3월 3일(2002년 4월 15일 


▶제비마중 : 이날 제비를 먼저 보면 그 해 운이 좋으나 늦게 보면 나
쁘다고 한다. 처녀들은 처음 보는 제비를 향하여 긴 옷
고름으로 고를 걸면 그 해가 좋다고 한다. 집에서는 새
쑥을 삶아 밀가루와 버무려 찐 쑥버무래기를 해 먹었다
고 함.
▶삼짓날놀이: 사내아이들은 물이 오른 버드나무 가지를 꺽어 피리를
만들어 불면서 놀고, 계집아이들은 물고풀을 뜯어서 대
나무쪽에 풀끝을 실로 매고 머리를 땋아 가느다란 나무
로 쪽을 찌고 헝겊조각으로 노랑저고리와 붉은 치마를
만들어 입혀 새 각시모양을 하여 요, 이불, 베개, 병풍
을 차려 놓고 『각시놀음』을 하고 논다.
※화전놀이→떡, 술을 준비해 단체로 소인끼리,절은이끼
리, 부녀자끼리 패를 지어 산수 좋은 곳을
찾아가 노는 놀이로 꽃놀이라고 한다.

▶화전(花煎), 수면(水麵)
:찹쌀가루를 둥글게 반죽하여 진달래꽃을 고명으로 얹
어 지져먹는 것을 화전이라고 하고 녹두로 국수를 만들
어 꽃물에 넣고 꿀을 타서 잣을 넣어 만든것을 수면이
라하여 서로 나누어 먹었다.

▶삼짇날 떡
산 떡 : 흰떡을 하여 방울 모양으로 만득어 팥을 넣고 다석가지 색
을 들여 다섯개를 이어 구슬을 꿴 것 같이 만든 떡.
고리떡 : 찹쌀과 송기와 쑥을 넣어서 만든 떡
쑥 떡 : 부드러운 쑥잎을 따서 찹쌀가루와 섞어 놓고 부정한것을
막고 왼새끼를 꼬아 그줄을 친다.

▶유 래 : 강남 갔던 제비가 돌아오는 날로 제비맞이 하는데서 유래
되었다고 답청절(踏靑節)이라고도 하는데 들판에 나가 꽃
놀이 하고 새 풀을 밟으며 봄을 즐기기 때문에 붙여진 이

름이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