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2003년 1월의 독립운동가-김호 | ||||
---|---|---|---|---|---|
작성자 | 서북구문화원 | 등록일 | 2003-01-01 | 조회 | 913 |
첨부 | |||||
src="http://www.cult21.or.kr/cc/03/imagedata/200301i.jpg" align="left"> 한사 김호(金乎, Charles Ho Kim, 1884. - 1968. 1)
선생의 본명은 김정진(金廷鎭, 金庭鎭)으로 1884년 5월 25일 서울에서 출생하였다. 대성학교에서 교사로 역임하던 중에 상해를 거쳐 1914년 7월 유학을 목적으로 도미하였다. 1919년 3·1운동 이후 선생은 국내 독립운동과 임시정부의 후원을 위해 대한인국민회 중앙총회장 안창호를 만나 대책을 협의한 끝에 인구세와 애국금 등의 독립운동 자금을 마련하 였다. 또한 독립운동을 위해서는 국제적 외교활동의 필요성을 절감하여 1919년 12월 「노동사회개진당」을 결성하고 대구미 외교 활동을 전개하고 있는 조소앙(趙素昻)을 대표로 선정하여 신임장과 활동비를 송금하고, 기관지로 『동무』를 발간하였다. 1931년 일제의 만주침략 이후, 임시정부에 대한 후원과 미주한 인사회의 통일을 위해 11월 미주한인연합회를 조직하고 재무에 선임되었다. 1933년 김규식의 미주방문을 계기로 미주한인단체의 통 합운동을 전개한 선생은 1937년 대한인국민회의 중앙집행위원장으로 선임되어 임시정부 중심의 통일전선 실현을 위해 진력하였다. 1940년 중국 중경에서 한국광복군 창설 소식이 전해지자, 선생은 1941 년 4월 재미한족연합위원회를 설치하고 임시정부 봉대방안을 협의하였 다. 선생은 재미한족연합위원회 위원장의 자격으로 1941년 12월 한인 국방군 편성계획을 미 육군사령부에 제출하고, L.A에서 한인국방경위 대(일명 맹호군)를 창설하였다. 선생은 한국의 독립을 국제사회에서 보장받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미당국과 협의하여 L.A시청에 현기식 을 거행하기도 하였으며, 한국과 원동에 있는 한인들을 대상으로 라디 오 선무방송도 전개하였다. 선생은 1942년 태평양전쟁이 더욱 확산되자, 중경의 임시정부와 긴밀 한 연락을 취하면서 활동하였고, 1945년 3월 임시정부의 연합국회의 대표의 일원으로 선발되었다. 광복 이후 재미한족 대표의 일원으로 귀 국한 선생은 좌우합작위원회와 미소공동위원회, 조선과도입법위원으 로 피선되어 활동하는 등 민족통일국가의 수립을 위해 노력하였으나, 이승만과의 노선 불일치로 1949년 재차 도미하였다. 도미 후에도 재미한인사회의 통일을 위해 노력한 선생은 1959년 김원 용과 함께 『재미한인오십년사』를 출간하여 재미한인사회의 역사를 정리하였다. 정부에서는 선생의 공훈을 기리어 1997년 건국훈장 독립 장을 추서하였다.
ㅇ 전시기간:2003. 01. 01 ∼ 01.31 ㅇ 전시장소:독립기념관 이달의 독립운동가 상설 전시실(제2∼3전시 관 통로) ㅇ 전시내용
1) 김호 사진 - 입간판용 사진 2) 대한인국민회 대표회의 직후의 기념사진 3)『재미한인50년사』에 수록된 옛 대한인국민회 회관 건물 4) 대한인국민회 북미지방총회 자치규정 및 각지방회 통용세칙. 선생 은 대한인국민회 지방회의 조직에 노력하여 1918년 11월 북미지방총 회 부회장에 선임되었다. 5) 김호가 김형순(金衡珣, Harry S. Kim)과 함께 설립, 운영한 김형제 상회의 현재 모습(리들리 소재) 6) 김호가 거주하던 집(리들리 소재) 7) 1941년 12월 창설된 한인국방경위대(일명 맹호군)의 군사 훈련도 8) 한인국방경위대의 스프링가 시위행진(1942. 4. 26) 9) 재미한족연합위원회에서 임시정부로 독립운동자금을 지원하였다는 보도기사(『국민보』,1944.5.10) 10) 재미한족연합위원회 국내파견 대표단 일행. 선생은 1945년 10월 국내대표단의 일원으로 선발되어 광복 이후의 민족국가수립을 위해 노 력하였다. 11) 임시정부 주석 김구가 김호에게 보낸 서한. 한국광복군의 국제적 승인을 위해 활동하는 것에대한 감사의 뜻을 전하고 있다. 12) 재미한족연합위원회 사무국장 김원용이 김호에게 보낸 공문으로 재미독립운동단체의 통합과 주미위원회의 재조직을 임시정부에 건의 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13) CD수록 사진(7월 8일자 김도형 리들리 수록 사진 12번째) - 미국 중부 캘리포니아(중가주) 리들리 공동묘지에 있는 김호(본명: 김정진, Charles Ho Kim)의 묘비. 14) 2002년 10월 8일 대전 국립현충원에서 거행된 선생 등 미주지역 독립운동가 4분의 유해 봉환식. 선생의 유해는 2002년 2월 28일 고국 으로 이장되어 대전 국립현충원에 안장되었다. (출처:독립기념관) autostrat=true loop=-1 hidden=tru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