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메뉴 닫기
서브페이지 배경
2002년 2월 이달의 독립운동가-한훈(韓焄) 글의 상세내용

『 2002년 2월 이달의 독립운동가-한훈(韓焄) 』글의 상세내용을 확인하는 표로 제목, 작성자, 등록일, 조회, 첨부, 내용으로 나뉘어 설명합니다.

제목 2002년 2월 이달의 독립운동가-한훈(韓焄)
작성자 서북구문화원 등록일 2002-02-01 조회 1484
첨부  

src="http://www.independence.or.kr/NEW/news/monthly/monthly_leader_kr/ 

phot/200202i.jpg"> 

국내로 귀국하여 대한광복회 조직을 부활시키고자 우재 

룡(禹在龍), 권영만(權寧萬) 등과 함께 1920년 2월 15일 광복단결사대(光 

復團決死隊)〔조선독립군사령부(朝鮮獨立軍司令部)〕를 조직하였다. 그리 

고 이 사실을 임시정부에 알리기 위해 박문용(朴文鎔)과 함께 상해로 건너 

가 결사대 결성계획을 알리고 임정의 지원을 약속받은 후 국내로 돌아왔 

다. 그리고 풍기광복단에서 활약하던 동지 김상옥(金相玉) 의사와 의열투쟁 

을 계획하였다. 

 

 

같은해 5월경 미국의원단(美國議員團)이 8월에 동양각국을 시찰하는 길에 

서울을 방문한다는 소식을 접하자, 한민족의 독립의지를 세계에 알릴 절호 

의 기회로 삼아 남대문역에 환영나온 총독과 정무총감을 암살하고 제2의 만 

세운동을 전개할 계획에 착수하였다. 결사대는 암살단취지서 및 통고문·경 

고문을 환영군중들에게 살포하고 자동차를 이용한 사격전을 계획하였으며, 

총격전이 벌어지는 동안 폭탄을 실은 자동차를 이용하여 관공서 및 경찰서 

등을 폭파한다는 것이었다. 김상옥 의사는 거사 당일 살포할 암살단 경고문 

과 취의서 등의 인쇄를 맡았으며, 한훈은 태극기와 미국 국기 10여 매를 제 

작하며 거사를 추진해 나갔다. 그러나 미국의원단이 도착하기 하루전인 8 

월 23일 일경의 예비검속으로 인해서 김상옥 의사의 집이 수색당함으로써 

발각되고 한훈을 비롯한 16명이 체포되고 말았다. 김상옥 의사는 탈출에 성 

공하였으나 광복단결사대와 암살단 조직은 파괴되고 말았다. 한훈은 8년형 

받았으나 1916년 대한광복회 당시 의열투쟁 사실이 확인되면서 5년형이 추 

가되었다. 1929년 형집행 정지로 출옥하였으나 모진 옥고로 인해 얻은 병 

과 일제의 감시로 활동을 할 수 없었다. 한훈은 충남 신도안에 은거하면서 

학병거부자와 탈출병 등을 은신시키고 그들에게 배일사상을 고취하는 활동 

을 하다가 광복을 맞이하였다. 

광복이후 한훈은 상경하여 광복단을 재건하고 자주적 독립국가의 수립을 

추진하면서 신탁통치 반대운동을 전개하였다. 한훈은 6·25가 발발하자 북 

한군에 납치되어 현재 생사를 알 수 없다. 정부에서는 그의 공훈을 기려 

1968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하였다. 

 

 

ㅇ 전시기간:2002. 02. 01 ∼ 02.28 

ㅇ 전시장소:독립기념관 이달의독립운동가 상설전시실(제2∼3전시관 통로) 

ㅇ 전시내용 

1. 한훈(인물사진) 

2. 홍주성 전투장면. 

1905년 을사조약이 강제체결되자, 한훈은 충남 홍성에서 소모장(召募將) 

이 되어 의병을 일으켜 일제침략에 항거하였다. 

3.『광복단약사(光復團略史)』. 

1913년 경북 풍기에서 한훈·채기중(蔡基中) 등이 중심이 되어 광복단 

을 결성하였다. 이후 대구의 조선국권회복단(朝鮮國權回復團)과 통합하여 

1915년 대한광복회(大韓光復會)가 조직되었다. 

4. 대한광복회 내력. 

한훈은 대한광복회 간부로 활동하였다. 

5. 대한광복회 활동 보도기사(『東亞日報』1922년 11월 12일). 

1916년 5월 한훈(한우석)은 김상옥의사 등과 함께 전남 보성 벌교의 친 

일부호 서도현(徐道鉉)을 처단하고 군자금 1만 4천원을 모집하였다. 

6. 대한광복회 관련 재판기록. 

7. 대한광복회 회원 판결 보도기사(『獨立新聞(上海版)』1919년10월10일) 

8. 광복단결사대(조선독립군사령부) 조직과 활동 관련 기사(『東亞日報』 

1921년 6월 25일). 광복단결사대는 1920년 2월 서울을 중심으로 대한광복 

회 출신 한훈·우재룡(禹在龍) 등에 의해 결성되었다. 

9.『안창호일기』에 한훈이 광복단 대표로 기록되어 있다.(1920년2월28자) 

10. 한훈 체포 보도기사(『東亞日報』1920년 8월 29일). 

11. 광복단결사대 의거 보도기사(『東亞日報』1920년 9월 22일) 

광복단결사대는 미국의원단 한국방문을 기회로 암살단과 만세단을 조직 

하고, 한민족의 독립 의지를 세계에 알리고자 의거를 추진하다 발각되어 체 

포되었다. 

12. 광복단결사대 비서장 박문용(朴文鎔) 등 한훈의 동지 체포 보도기사 

(『東亞日報』1921년 3월 6일). 

13. 한훈의 자필이력서「대한광복단(大韓光復團)」(1945년 8월 19일 작성). 

14. 율리사(栗理祠, 충남 청양). 한훈과 한태석을 모신 사당. 

15. 광복지사 한공훈사적비와 애국지사 한공태석사적비. 

한태석(韓泰錫)은 한훈의 형으로 홍주의병·대한광복회·광복단결사대 

등에서 함께 활동하였다. 

16. 한훈 묘소(서울 국립묘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