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존 닫기
메뉴닫기

공지사항

2002년 5월 이달의 독립운동가-송학선 글의 상세내용

『 2002년 5월 이달의 독립운동가-송학선 』글의 상세내용을 확인하는 표로 제목, 작성자, 등록일, 조회, 첨부, 내용으로 나뉘어 설명합니다.

제목 2002년 5월 이달의 독립운동가-송학선
작성자 서북구문화원 등록일 2002-04-30 조회 1308
첨부  
src="http://www.independence.or.kr/NEW/news/monthly/monthly_leader_kr/ 
phot/200205i.jpg"> 
송학선(1893∼1927) 

20세가 되던 1916년 서울 남대문에 있는 일본인이 경영하는 농구회사 
(農具會社)에 고용원으로 취직하였으나, 급성 각기병으로 회사를 그만두게 
되었다. 이후 송학선 의사는 한국침략의 원흉 이등박문(伊藤博 
文)을 하얼빈 역두에서 처단한 안중근(安重根) 의사를 숭배하고 자신 
도 조선총독 재등실(齋藤實)을 처단하기로 결심하였다. 
1926년 4월 27일 송학선 의사는 융희황제(隆熙皇帝)가 붕어하였으니, 
재등도 반드시 조문할 것으로 판단하고 융희황제의 빈소인 창덕궁 앞 
에서 대기하고 있었다. 28일 다시 빈소의 출입문인 금호문(金虎門) 앞 
에서 대기하던 중 오후 1시경 일본인 3명이 탄 자동차가 창덕궁으로 
들어가자 그는 재등이 탄 것으로 생각하고 얼마후 자동차가 금호문으로 나 
오는 것을 놓치지 않고 비호같이 자동차에 뛰어 올라 2명을 칼로 찔렀다. 
그리고 송학선 의사를 뒤쫓는 기마순사 등원덕일(藤原德 
一)과 서대문경찰서 순사 오환필(吳煥弼)을 칼로 찔러 넘어뜨리고 달 
아났다. 송학선 의사는 휘문고등보통학교 문앞 골목으로 들어가 추격 
하는 일본 경찰들과 혈전을 계속하다가 중과부적으로 머리에 상처를 입고 
체포되었다. 
불행하게도 송학선 의사가 재등실 총독으로 생각하고 처단한 사람은 동민회 
(同民會) 이사 좌등호차랑(佐藤虎次郞)이었다. 그리고 자동차의 왼쪽에 앉 
아 있던 자는 국수회(國粹會) 부회장 고산효행(高山孝行) 
이었고, 오른쪽에 타고 있는 자는 경성부협의회 의원(京城府協會議 
員) 지전장차랑(池田長次郞)이었음을 알고 통분을 금치 못하였다. 
송학선 의사는 ''살인 및 상해죄''로 기소되었다. 법정에선 송학선 의사 
는 일본인 재판관이 "피고는 어떤 주의자인가? 사상가(思想家)인 
가?"라고 묻자, 의연하게 "나는 주의자도 사상가도 아니다. 아무것도 
모른다. 다만 우리나라를 강탈하고 우리 민족을 압박하는 놈들은 백 
번 죽어도 마땅하다는 것만은 잘 알고 있다. 그러나 총독을 못 죽인 것이 
저승에 가서도 한이 되겠다"라고 대답하였다. 
사형선고를 받은 송학선 의사는 고등법원까지 상고하였으나 기각당하 
고 1927년 5월 19일 서대문형무소 형장에서 순국하였다. 송학선 의사 
는 일제의 형장에서 순국하였지만, 그의 거사와 독립의지는 6·10만세 
운동으로 계승되었다. 
정부에서는 송학선 의사의 공훈을 기리어 1962년에 건국훈장 독립장 
을 추서하였다.
 

ㅇ 전시기간:2002. 05. 01 ∼ 05.31 
ㅇ 전시장소:독립기념관 이달의 독립운동가 상설 전시실(제2∼3전 
관 통로) 
ㅇ 전시내용 

1. 송학선 
2. 융희황제 장례식. 
대한제국의 마지막 황제 융희황제는 1926년 4월 26일 승하하였다. 융 
희황제 인산을 계기로 6·10만세 운동이 일어났다. 
3. 송학선의거 당시의 금호문(1926. 4. 28) 
송학선 의거는 일명 ''금호문(金虎門) 사건''이라고 하는데 창덕궁(昌德 
宮) 서남문인 금호문 앞에서 의거를 일으켰기 때문이다. 
4. 현재의 금호문 
5. 송학선의사 가족사진. 
뒷줄 오른쪽부터 아버지 송성근(宋聖根), 송학선의사, 동생 또학선(又 
學善), 앞줄 오른쪽부터 셋째동생 경옥, 어머니 김씨. 
6. 의거 당시에 송학선의사 가족이 살던 집. 
7. 송학선의거 『동아일보』 호외. 
8. 송학선의사 공판광경 
9. 송학선의사 사형언도 보도기사(『동아일보』1927. 2. 4) 
10. 송학선의사 사형이 집행된 서대문형무소 사형장 
11. 송학선의사 사형 순국 보도기사.(『동아일보』1927. 5. 22) 
1927년 5월 19일 송학선의사 사형이 집행되었다. 
12. 송학선 의사의 사적(事蹟)을 수록한 송상도(宋相燾)의 저서 『기 
려수필(騎驢隨筆)』중 일부. 
13. 공판받는 6·10만세운동 관련인사들. 
6·10만세운동을 전후하여 200여 명의 인사들이 일본경찰에 체포되었 
다. 
14. 6·10만세기념비.(서울 중앙고등학교 교정) 
15. 송학선의거 의거터. 
16. 송학선 묘소. 
<출처:독립기념관> 

 

목록

게시판 이전 및 다음 링크

[사이버문화원] 지역문화원(공지사항)의 이전글과 다음글을 보여주는 설명하는 표입니다.

이전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