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계룡면 기산리의 지명유래 | ||||
---|---|---|---|---|---|
작성자 | 공주문화원 | 등록일 | 2001-11-22 | 조회 | 1682 |
첨부 |
![]() |
||||
|
|||||
지 명 : 고샘골〔마을〕 내 용 : [위치] 봉곡 앞 우측.[유래1] 높은 곳에 샘이 있었다 한다. 지 명 : 기산(箕山)〔마을〕 내 용 : [위치] 기산리. [유래] 기산 아래 마을이 있다 해서 마을 지명도 기산이라 부른다. 지 명 : 늘티, 무너미 고개〔고개〕 내 용 : [위치] 원골 남쪽. [유래1] 공주읍에서 전라북도로 통하는 고개이다. 정감록에 따르면 계 룡산 신도안에 도읍이 정해지면 금강물이 이 고개를 넘어서 논산 군 노성면의 草浦(초포)를 지나 논산천과 합하여 江景浦(강경 포)로 들어가서 草浦(초포)에 배가 드나들게 된다고 한다. 판 티 또는 무너미 고개라고도 부르는데 물이 고개를 넘어갈 고개라 하여 무너미 고개다. 고개에 마을이 있는데 이 마을도 늘티 또 는 판티라 부른다. [어휘- 음훈] `무네미는 물(水) + 넘이(踰里)>무네미`(ㄹ탈락, ㅣ모음 역행동 화)로 전국 여러 곳에서 발견되는 지명이다. 지 명 : 다래울〔마을〕 내 용 : [위치] 노인정 도로 건너. [유래] 달이 떠오르는 골짜기에 달이 밝은 마을이라 해서 다래울이라 부른다. 月出谷이라고도 부른다. 지 명 : 매봉재〔고개〕 내 용 : [위치] 기산리 [유래] 매가 알을 품고 있는 형국을 띠고 있는데서 유래한다. 지 명 : 방축골〔마을〕 내 용 : [위치] 다래울 남동쪽. [유래] 방축이 있는 부근에 마을이 있다 해서 방축골 또는 방축동이 라 부른다. 지 명 : 봉곡(鳳谷), 부엉골〔마을〕 내 용 : [위치] 소정이 남서쪽. [유래] 마을 지형이 봉황이 알을 품고 있는 형국이라 해서 봉곡이라 부른다 한다. 지 명 : 소와리, 우와리〔마을〕 내 용 : [위치] 기산 1구. [유래] 마을 뒷산이 마치 소가 누워있는 형국이라 하여 소와리 또는 우와리라 부르는 마을이다. 지 명 : 소정리(小井里), 소정〔마을〕 내 용 : [위치] 기산 1구 방앗간 안동네. [유래] 마을 앞에 우물이 있다 해서 소정리라 부르는 마을이다. 지 명 : 용수골〔마을〕 내 용 : [위치] 중대 뒷고랑. [유래] 술을 해 짜는 용수 모양을 띠고 있어 용소골, 용수골이라 부른 다. 지 명 : 원골(院골)〔마을〕 내 용 : [위치] 다래울 남쪽. [유래] 전에 여기를 지나는 사람들의 편의를 돌봐 주는 원집이 있었 던 마을이다. 지 명 : 절터골〔마을〕 내 용 :[위치] 성화산 아래. [유래] 예전에 이 곳에 절이 있었으며 이로 인해 절터골이라 부른다. 지 명 : 중대〔마을〕 내 용 : [위치] 저수지 안고랑. [유래] 마을의 가운데에 위치한다고 함. 지 명 : 중무덤이, 시목리〔마을〕 내 용 : [위치] 원골에서 서남쪽. [유래1] 중의 무덤이 있는 마을이라 해서 중무더미 또는 승분이라 부른 다. [유래2] 마을에 감나무가 많다 해서 감나무골 또는 시목리라고도 부른 다. 지 명 : 팔자산〔산〕 내 용 : [위치] 평전말 뒷산. [유래] 산봉우리 밑부분의 돌이 여덟 팔자 모양을 띠고 있어 팔자산이 라 한다. 지 명 : 상정마을, 송정〔마을〕 내 용 : [위치] 월암리. [유래] 일제시대에 이 곳에 큰 소나무가 있었는데 이를 따서 송정 또 는 상정이라 부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