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업성동의 지명유래 | ||||
---|---|---|---|---|---|
작성자 | 동남구문화원 | 등록일 | 2001-11-22 | 조회 | 1346 |
첨부 | |||||
업 성 동 天安郡의 北二面지역으로 마을 뒷산에 선바위라는 큰 바위무리 가 있어 岩石里 立石里라고 하던 것이 소리나는대로 변하여 業成 이 되었다.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溫水洞 光珠洞 立岩 洞을 합쳐서 業成洞이 되었다. 감나무골(木洞) 선바위(立岩) 서북쪽에 있는 마을, 천안군 직산면 마정리로 통한 다. 옛날에는 아산의 백석포와 평택지방으로 가는 큰 길이다. 마 을의 북서쪽에 산이 가로막아 북풍을 막아주어 감나무가 잘 자란 다. 따라서 감이 많이 생산되므로 감나무골이라고 하였다. 세기실(섹기실 :石基室) 본동앞에 있는 넓은들 업성동에서 천안시내로 통하는 지름길이 이곳에 있다. 마을에 내려오는 전설에 의하면 이곳에는 옛날에 큰 石穴이 있어 石穴室이라고 하였다고 전한다. 石穴室이 변하 여 "섹기실"이 되었다. ※ 이웃 斗井洞의 노태산에 支石墓가 있고 선사유물이 출토된 것 으로 보아 이곳에도 積石塚이 있어서 유래된 이름같다. 사근다리(外洞) 섹기실 남쪽에 있는 마을(업성2통), 남쪽으로는 부대동, 동쪽으 로는 신당동과 경계를 이루고 있다. 업성저수지 제방 아랫쪽에 이루어진 集村, 業成川의 상류에경부선 철로가 부설되기 이전에 는 통나무를 엮어서 놓은 다리가 있었는데 오랜 세월에 부식되 어 삭은다리로 불리워진 것이 유래되어 마을이름이 되었다. 선바위(立岩洞, 仙洞) 선바위산 동남쪽 기슭에 있는 마을, 마을 뒷산에 있는 선바위 이 름을 따서 선바위골이라고 하였다. 밤골(栗洞) 선바위골 남쪽에 있는 마을, 북쪽이 산으로 막혀 양달지어 겨울 에도 따뜻하여 밤나무가 잘 자라 밤골이라 하였다. 광주말(光珠洞) 선바위골과 밤골을 합쳐서 일컫는 말. 한자로 풀이하면 구슬이 빛난다는 뜻이나 그것과는 관계없다. 마을이 생김새가 대나무나 버들로 엮은 광주리같이 아늑하다고 하여 광주말이라고 하였다. 찬샘(冷泉 : 옷샘) 온수골 막바지 선바위산 서남쪽 골짜기에 우물, 여름에는 얼음같 이 차고 겨울에는 온천물과 같이 따뜻하다. 우물 주변에는 한겨 울에도 풀이 죽지않고 파랗게 살아서 신기하게 보인다. 장구봉 업성저수지 북쪽에 있는 봉우리 두 개가 연결되어 있는 허리가 오목하게 되어 마치 장고모양으로 장구봉이라고 하였다. 통뫼(桶山) 장구봉 남쪽에 있는 야산. 지금은 모두 개간되어 밭으로 이용되 고 있다. 나무로 만든 통(桶)을 엎어 놓은 것과 같은 모양을 하 였다고 통뫼라고 하였다. 강당골(講堂谷) 장구봉 남쪽기슭의 골짜기. 옛날에 글방이 있어서 강당골이라고 하였으나 지금은 자취도 없이 사라지고 밭에서 건물흔적으로 보 이는 와당만이 많이 나오고 있다. 밤골구레(栗谷沓) 밤골(栗谷) 앞에 펼쳐진 들이름, 구레라함은 협곡사이에 발달된 들을 말한다. 끼드락바위 선바위 끝에 있는 바위. 작은 바위가 큰바위 위에 얹혀 있어 사 람들이 세차게 떠밀면 위에 있는 작은바위가 끼드락 끼드락 하 고 소리를 내면서 흔들리므로 붙여진 이름이다. (설악산의 흔들 바위와 같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