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덕 리
직산군 이남면 지역인데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할 때 문성리 복 덕리를 병합하여 문성리의 문자와 복덕리의 덕자를 따서 문덕리 라 하고 성거면에 편입되었는데 면이 읍으로 승격되어 성거읍 문 덕리가 되었다.
(전설) 경주김씨 김효인이 종자 천석을 뿌리는 큰 부자였는데 그가 죽 자 동네 뒤에 묘를 쓰고 동네 앞에다 연못을 파고 연못 주변에 호랑이상, 원숭이상, 거북이상 등 각종 동물상을 만들어 놓으면 좋다고 하여 그대로 하고 물이 있어야 된다고 연못도 팠는데 동 물상은 없어지고 현재는 연못만 남아있다.
엽당터 문성리와 복덕리 사이에 있는 골짜기
복덕리(福德里) 문성 남쪽에 있는 마을 복덕사가 있으며 복덕 방죽이 있다.
바조리고개 복덕리에서 소우리의 바조리로 넘어가는 고개.
문성(文城) 문덕리에서 가장 큰 마을. 문성산 밑이 된다.
매봉재(매봉) 복덕리 뒤에 있는 산. 전설에 의하면 옛날 큰 장마 때 이 산이 물에 잠기고 매가 앉을 만치 남아 있었다고 한다. (전설) 문성리는 옛부터 전해오는 말에 의하면 이곳이 길(吉)지 라 학문하는 사람이 만호이 태어나 문인으로 성을 이루는 동네 가 될 것이라고 한다. 이남면의 소재지였다고 하며 큰 느티나무 가 있었는데 일본인들이 배를 만든다고 베어가서 없어졌다고 한 다.
장수바위(전설) 모정뿌리에 있는데 이 뿌리가 길면 부락이 길하고 뿌리가 떨어 져 나가면 불길 하다고 하는 말이 전해오는데 고속도로 공사로 갈라져 나갔다.
큰 사낙골(송가집골) 송씨가 큰 부자로 살았는데 도둑이 심하여 못살고 떠났다 한 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