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홈으로
사이트맵
천안 서북구 문화원
주메뉴영역
문화원에 오신걸 환영합니다.
소개마당
인사말
연혁
조직 및 업무
시설현황
오시는 길
문화소식
문화탐방
문화소식
축제행사
성환의문화
문화학교
문화학교 소개
문화학교 자료실
자료마당
행사사진
문화자료
E-BOOK
참여마당
회원가입
공지사항
보도자료
사이버향토사료관
소개
발행도서현황
사이버향토사료관
메뉴보기
모바일용 메뉴
천안시서북구문화원
도내문화원 바로가기
공주문화원
금산문화원
논산문화원
당진문화원
보령문화원
부여문화원
서산문화원
서천문화원
예산문화원
온양문화원
천안시동남구문화원
천안시서북구문화원
청양문화원
태안문화원
홍성문화원
사이트맵
소개마당
인사말
연혁
조직 및 업무
시설현황
오시는 길
문화소식
문화탐방
문화소식
축제행사
성환의문화
문화축제
문화재
역사
인물
민속
지명
문화학교
문화학교 소개
문화학교 자료실
자료마당
행사사진
문화자료
E-BOOK
참여마당
회원가입
공지사항
보도자료
사이버향토사료관
소개
발행도서현황
사이버향토사료관
모바일메뉴 닫기
서브페이지 배경
홈페이지가이드
문화소식
지명
홈
문화소식
성환의문화
지명
페이스북
트위터
인쇄
총게시물 :
56
/
페이지 :
4/6
게시물검색
검색조건
제목
글내용
작성자
삼룡동의 지명유래1
삼 룡 동옛 천안군의 군남면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이 개편되면서 샛 골(鳥洞) 삼거리(三巨里) 무상리(舞裳里) 둔지리(屯地里)를 합하 여 삼거리와 龍馬山의 머릿자를 따서 삼룡동이라고 하였다.이곳 은 옛날부터 교...
작성자 :
서북구문화원
조회 :
1233
2001.11.22
부대동의 지명유래2
부 대 동 후릿고개(후리고개) 부대동 안터마을에서 달북재의 기슭을 넘어 샛터마을 검배골로가는 고개. 지금은 길의 자취만 남아있고 길은 없다. 마을에 내 려오는 전설에 의하면 어느 때의 난리인지는 분명하지 않으나 胡 ...
작성자 :
서북구문화원
조회 :
1297
2001.11.22
부대동의 지명유래1
부 대 동천안시에서 국도를 따라 북쪽으로 약 4Km지점에 국도양편에 펼쳐 진마을 이마을은 삼국시대에 이미 형성된 마을이다. 한자로는 富 垈라 하여부자터로 쓰여지고 있으나 토질이 척박하여 매우 빈촌 이었으나 최근에 많...
작성자 :
서북구문화원
조회 :
1299
2001.11.22
청수동의 지명유래
청 수 동1920년 지방행정구역 변경에 의하여 읍내리 일부를 가르고 환성 면 천당리의 만당골을 병합하여 만당과 이곳에 있는 수도산의 이 름을 따서 청수정이라 하다가 1946년 왜식동명 변경에 따라 정 을 동으로 고쳐...
작성자 :
서북구문화원
조회 :
1227
2001.11.22
청당동의 지명유래
청 당 동본래 천안군 군남면의 지역을 청당골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에 따라 신둔지리(新屯之里)와 거재리(巨才里)를 합 쳐서 청당리(淸堂里)라 하여 천안군 환성면에 속했다가 1953년청당골은 천안읍에...
작성자 :
서북구문화원
조회 :
1308
2001.11.22
차암동의 지명유래
차 암 동天安郡의 北二面지역이었다.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車 垈아 郡西面의 栗枝洞과 牙山郡 一東面의 栗枝里를 합쳐서 수릿 터(車垈)와 차돌박이의 뜻을 따서 車岩里라 하여 歡城面에 편입 되었다가 1963년...
작성자 :
서북구문화원
조회 :
1188
2001.11.22
유량동의 지명유래
유 량 동고려태조 왕건이 936년에 후백제의 신검(神劍) 양검(良劍)을 정 벌하기 위하여 천안에 군사를 주둔시키면서 8만여명분의 군량을쌓아두었던 곳이라 하여 글자 그대로 유량동이다. 이곳에서 머물 렀던 왕건은 후백제...
작성자 :
서북구문화원
조회 :
1239
2001.11.22
원성동의 지명유래
원 성 동원거리 또는 원리(院里)라고도 부른다, 본래 천안군의 하리면 지 역인데 남원(南院)이 있었으므로 원거리라고 하였는데 1914년 행 정구역통폐합에 따라 성리(城里)를 합쳐서 천안읍 영성면에 편입 되었는데 19...
작성자 :
서북구문화원
조회 :
1127
2001.11.22
용곡동의 지명유래
용 곡 동일봉산 아래에 동서로 길게 펼쳐진 동이다. 동의 뒤쪽에는 높은산이 가로막아 북풍을 막아주고 앞에는 큰 내가 굽어 흘러가며주변에는 넓은 들이 펼쳐져서 전형적인 한국농촌의 모습을 갖춘동이다. 천안시내에서 흐르는...
작성자 :
서북구문화원
조회 :
1264
2001.11.22
와촌동의 지명유래
와 촌 동왜정(倭政)때 황금정(黃金町)이라 하였다가 기와막거리(기와말) 의 뜻을 따라 와촌동(瓦村洞)으로 고쳤다. 온양나드리(溫陽나드리) 기와말 서쪽에 있는 마을로서 온양(溫陽)으로 통하는 길가가 됨. 천안교(天安橋...
작성자 :
서북구문화원
조회 :
1331
2001.11.22
««
«
1
2
3
4
5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