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청양군 명칭의 유래 | ||||
---|---|---|---|---|---|
작성자 | 청양문화원 | 등록일 | 2002-08-12 | 조회 | 1619 |
첨부 | |||||
청양군 명칭의 유래는 1914년 행정구역 개혁때 靑武郡(청무군)
과 定陽郡(정양군)을 合倂(합병)하면서 靑武(청무)의 "靑"자 와 定陽(정양)의 "陽"자를 따 칭하였으며 歷史的(역사적)으로 살펴보면 "靑陽(청양)"이란 이름이 처음 불리워진 것은 -760년 신라 제 35대 경덕왕 19년 경자 4월 1일에 해가 둘이 나란이 나타나 열흘동안이나 없어지지 않았다. 日官(일관)이 아 뢰기를 請(청)하여 散和功德歌(산화공덕가)를 짖게 하면 재앙을 물리치리라 하였다. -이에 朝元僧(조원승)에 깨끗한 壇(단)을 베풀고 이름을 「靑陽 郡」라 칭하고 行(행)하여 僧(승)을 기다렸다. 이에 明月師(명 월사)가 길두덩 남쪽으로 가므로 王(왕)이 사자를 보내여 壇 (단)을 열고 기도문을 지으라 했다. - 明(월명)이 아뢰기를 "臣(신) 僧(승)은 國仙(국선)무리[化郞 道(화랑도)]에 속하여 단 지 鄕歌(향가)를 알뿐이요 聲(성)에 는 익숙치 못하다."하니 王 (왕)은 이미 僧(승)으로 뽑혔으니 鄕歌(향가)도 좋다 하였다. 이에 明月(명월)이 鄕歌(향가)를 지어 읊으니 괴변이 없어 졌 다 한다. 그 鄕歌(향가)에 오늘에서 散化歌(산화가)를 부르니 뿌려지는 꽃아 너는 곧은 마음에 명을 심부름하여 비륵 조주로 모셔라. 이와 같이 靑陽(청양)이란 이름의 由來(유래)는 歷史的(역사적) 으로 그 뜻이 深奧(심오)하고 칠갑산 愛城(애성)과 가이 宗敎的 (종교적).神話的(신화적) 元(원)에서 由來(유래)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