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메뉴 닫기
서브페이지 배경
세시풍속 ▶정월→정초제속 ▷십일지일 풍속 게시판 상세보기

[청양문화원] - 민속 내용 상세보기 입니다.

제목 세시풍속 ▶정월→정초제속 ▷십일지일 풍속
작성자 청양문화원 등록일 2002-05-03 조회 761
첨부  
 
▶상자일(上子日)
정월들어 일진이 첫째 자일(子日)인 날은 상자일이라 한다.
이날은 쥐날로 쥐를 없애기 위해 농부들이 들에나가 논가 밭두렁
을 태우는 것이니 이것을 "쥐불놀이"라 부른다. 또한 한밤중에
농가에서 방아를 찧으면 쥐가 없어진다 하여 부인들이 빈방아를
찌어 요란한 방아소리를 냈다.

▶상축일(上丑日)
정우러들어 일진이 첫 축자(丑子)인 날을 상축일이라 하는바 "소
달기날"이라고도 부른다. 이날은 소나 말등의 가축들이 쉬게하
고 좋은 먹이를 만들어주어 먹이는데 이것을 농사를 짓는데 소만
큼 중요한 것이 없기 때문이다.
이날은 쇠붙이 연장을 다루지 않는데 이날 연장을 다루면 쟁기
의 "보습"이 부러지고 방아를 찧으면 소가 기침을 한다고 한다.
소날에는 도마질을 하지 않는데 이것은 쇠고기를 도마에 썰어야
함으로 이날만은 피하자는 것이고 이날 곡식을 문밖으로 내보내
면 소에게 재앙이 온다고 한것은 대부분의 곡식들이 소가 일해
준 덕으로 얻어진 것이므로 소를 위하는 뜻에서이다.

▶상인일(上寅日)
정월들어 일진이 첫인(寅)자 든날을 상인일이라 하여 호랑이날
또는 범날이라고 한다.
이날은 남과 만나는 것을 삼가하고 꺼리며 특히 여자는 외출을
하지 않는다. 이날 부녀자들은 남의 집에 가서 대소변을 보면 집
안 식구중에 호환을 당한다고 하여 문박 출입을 꺼려한다.

▶상묘일(上卯日)
정월등어 일진이 첫묘(卯)자가 든날을 상묘일이라고 하여 토끼날
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날은 남자가 먼저 대문을 열어야 한다. 특히 가장이 먼저 문
을 열면 한해동안 집안이 풍족해지고 여자가 먼저 문을 열면 복
이 나간다고한다.
이토끼 날은 남의집 머슴이나 여종들도 문안에 들이지 않으며 사
람의 손을 거쳐서 만들어진 그릇도 집안에 들여오기를 꺼려한
다. 이날 새로 뽑은 실을 "톳실"이라고 하며 이 실을 파랑색으
로 물들여 주머니 끝에 달거나 옷에 꿰고 다니면 재앙을 물리친
다고 한다.

상진일(上辰日)
정월들어 첫진(辰)자가 든날을 상진일이라고 부르며 용의 날이라
고도 한다.
용날이 되면 용이 하늘에서 내려와 우물에 알을 낳는다고 것이
다.
부녀자들은 새벽 일찍 남보다 먼저 우물속에 있는 용의 알을 떠
가려고 한다. 원래 용은 상상의 동물이기 때문에 이 알고 상상
의 알로써 부녀자들은 이물로 밥을 지으면 그 한해의 운수가 대
통한다고 믿고 있다. 제일먼저 물을 길은 사람은 짚을 몇오라기
를 우물에 뛰우는데 이것을 용알 뜬다고 한다. 또 이날 머리를
감으면 머리카락이 용과 같이 길어진다 하여 많은 여자들이 이
날 머리를 감는다

▶상사일(上巳日)
정월들어 첫사(巳)자가 드날을 상사일이라고 하며 뱀날이라고도
한다.
이날에는 남녀 할것 없이 머리를 깎거나 빗지 않는다. 이날 머리
를 손질하면 그해에 뱀이 집에 들어와 화를 입게된다고 한다. 뱀
은 사람들이 꺼리는 동물이라 이날은 특별히 조심했다.

▶상유일(上酉日)
정월들어 일진이 첫유(酉)자가 든날을 상유일이라고하고 달날이
라고도 한다. 이날은 여자들이 바느질을 하지 않느다. 이날 바느
질을 하게되면 손이 닭발처럼 흉하게 된다고 하여 될수 있으면
일을 하지 않고 쉰다

▶상해일(上亥日)
정월들어 일진이 첫해(亥)자가 든날을 상해일이라고 한다. 이날
은 여자들이 "팥"을 갈아 조두라는 가루비누를 만들어 세수하면
얼굴이 희어지고 고와진다고 한다. 이것은 돼지 빛이 검기 때문
에 반대의 뜻으로 이러한 풍습이 생긴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