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민간신앙▶산신제 ▶청남면 천내리 | ||||
---|---|---|---|---|---|
작성자 | 청양문화원 | 등록일 | 2003-03-05 | 조회 | 578 |
첨부 | |||||
【청남면 천내리 산신제】 ▶마을개관 샘<천>자, 안<내>자, 마을<리>자 해서 ‘천내리’ 인데 은행나 무 안쪽이라는 의미도 있고, 천동(川洞)이라고 불렀다고 한다. 김씨가 많이 산다고 한다. 천내 2리에 장승제가 있었고 장승모 탱이라고 부르는 곳도 있었는데 정부에서 과소비 금지를 내린 후 없어졌다. 천동이라는 곳은 12대조 할아버지가 출생해서 살았 고 그 밑에 종들이 사는 집을 행랑채라고 지어 놓았다. 손님이 오면 술을 대접하는데, 종 집에 연결해놓은 줄이 있다. 그것을 설렁줄이라고 하는데, 그 줄을 흔들면 술을 가지고 오라는 암호 였다. 그러면 종중에 여자들이 술을 걸러 가기 싫다고 억지로 물 흐름을 바꿔서 안쪽으로 흐르도록 하였다. 예전에 이 동네가 정산골 이었다. 정산에 원(지금의 군수)이 있었다. 그때(한 500 여년전) 감사(지금의 도시자)가 말을 타고 원을 찾아오는데, 동 네 앞에 나루 건너 마을을 찾아오다가 집이 하도 좋아 관저인줄 알 정도로 마을도 컸다.(청남면 천내2리 전철규) ▶소재지 :청남면 청양군 청남면 천내리 ▶형 태 : 당산에 산제당이 있다. ▶의 례 ⊙제의 명칭 : 산신제 ⊙제 일 음력 정월 열 나흗 날 지낸다. 떡을 쪄놓고 소지를 올리며 동 네의 안녕을 기원한다. ⊙제 관 당주와 유사는 1년 전에 뽑는데 유사는 몸을 아끼지 않고 정 성을 잘 들이는 사람으로 뽑는다. 유사의 자격은 나이가 어 느 정도 있고 아는 것도 많은 사람으로 동네에서 적합한 사람 을 추천해서 뽑는다. 당주는 깃대를 모시고 아침,저녁으로 제베(절)하는 책임지는 사람으로 산제당에 가소 제사를 다 지내도록 책임을 전적으로 지는 사람이며, 일할 사람은 일주일 전에 뽑는다. 당주는 생기복덕 안 따지고 아무나 뽑는다. 산제 올리러 일 을 한다. 음식 만드는 사람은 당주이다. 일년의 제몰 등을 책 임지고 만든다. 당주는 성의껏 하는 사람을 뽑아야 한다. 금가 사항은 부정이 없도록 함부로 돌아다니지 말아야 한다. 유사도 함부로 돌아다니지 못한다. 당주를 뽑는 시기는 음력 정월 열 나흗날 제사 지내고, 제 지낸 보름날 당주를 뽑는다. ⊙비 용 경비충당은 추렴과 걸립으로 개인당 1말이나 5되를 냄으로써 정성을 표한다. 요즘은 호당 3만원 정도 낸다. 남는 돈은 공동기금으로 산제 이후에 술 먹고 노는데 사용한 다. ⊙제 물 시장은 섣달 그믐 안에 다 봐두는데 이는 제물을 다 갖춰놓고 그때부터 보름 기도를 하기 때문이다. 시장에서 소지 종이(동 네가 100여 호 되니까 5~6권 정도 산다. 교회 다니는 사람 은 올라가지 않는다.)만 섣달 그믐 안에 사두고, 포(명태), 삼새실과(바므 대추, 사과, 배), 고기(쇠고기)는 제지내기 몇일 전 무렵에 산다. 당주네 집에서 유사하고(유사가 돈이 랑 등등을 관리하므로) 장을 보며 흥정을 한다. 기도는 아침 저녁 목욕제계를 하고 기 앞에 가서 기도만 한다. 제물은 필 요없다. 제물은 떡은 시루떡(팥), 식혜, 술, 소고기 산적, 포, 과일, 밥, 청주, 탕은 하지 않는다. 밥을 하는 노구미 (밥솥)이 있는데, 제당에 올라사 그곳에서 지어서 올린다. ⊙제의 절차 당은 당일날 총 3번 올라가는데, 처음에는 해가 있는 밝은 때 에 올라다는데, 당주의 집에 있던 깃대를 가지고 풍장을 티면 서 제를 지낼 사람 전원이 올라간다. 깨끗이 청소를 해두고 깃대를 꽃아놓고 내려오는데, 내려올 때도 풍장을 친다. 내려 와서 저녁 먹고, 두 번째는 그냥 갔다가 오는데, 순행이라 한 다. 세 번째에는 어두워졌을 무렵에 올라가는데 준비해 놓은 제물을 가지고 간다. 풍장은 언제든지 꼭 쳐야한다. 모든 사람이 제물을 하나라도 가지고 올라가야 한다. 입에 마 스크를 하고 가는 사람도 있다. 촛불 켜놓고 불박이를 만들 어 놓고, 현관이 첫 잔 올리고 축을 읽고 절을 한다. 야헌 관, 종현관 모두 제를 올린다. 제사는 산신령을 위해서 지내는 것이다. 그러므로 처음에는 산신령께 올리는 소지를 올리고, 다음으로 동네의 사람들을 위한 소지를 올린다. 한사람이 약 20여호씩을 말아서 올린 다. 그러면 제사가 끝난다. 제사 지내는 시간은 2~3시간 걸린다. 산에서는 그렇게 울고, 개인 집에서 집안의 산제당이다라고 생각하고 위하는 것이 다. 집집마다 모두 지낸다. 자기네 집을 휘해서 빈다. 강에 가서는 용왕제를 지내는데, 시루를 해서 위한다. 근처의 금강 에 가서 지낸다. 마을의 거의 모든 집들이 용왕제를 지냈다. 강물에 있는 용왕르 위해서 지냈다. 산에서 다 끝나면 끝났다고 징을 쳐주는데, 징을 치는 사람 은 특별히 정해져 있지 않았다. 산에서와 각 가정에서 같이 제를 시작하고 끝내는 것이다. ⊙산제기 음력 정월 보름날 제관이 선정된 후에 기를 이전한다. 기는 대나무에(쥐어서 한아름 정도의 굵기) 다섯친느 된다. 꿩 털도 달고 홀치도 만들고 광목에 글씨 써서 만들었다. 동부락 대제기라고 부른다. 이때 깃대도 모셔오는데 깃대를 세우는 것은 다음 해의 당주라는 표시이다. 현재는 제사를 지내지 않 기 때문에 산신당에 넣어 두고 있다. ⊙금 기 당주로 선정되면 부정한 일을 피하기 위해 함부로 돌아다니지 도 않는다. ⊙소 지 산신령께 각 호의 소지를 올린다. 한 사람이 20·30호씩 맡아 서 소지를 올린다. 제사 지내는데 걸리는 시간은 2~3시간이 소요된다. -(청남면 천내2리, 전철규)- 칠갑문화 12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