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메뉴 닫기
서브페이지 배경
민속놀이 ▶노적봉(노적가리)세우기 게시판 상세보기

[청양문화원] - 민속 내용 상세보기 입니다.

제목 민속놀이 ▶노적봉(노적가리)세우기
작성자 청양문화원 등록일 2003-03-10 조회 654
첨부  
 
정월 열나흗날부터 보름날까지 양일간 행해지는 행사이다
정월 열나흗날 아침에 노적봉을 세울 사람들과 풍물잽이들이 모
두 모인다
마을 가구 중에서 웬만큼 사는 잡을 골라서 가게 되는데 100호
정도의 마을이면 20호 정도를 들어간다
풍장을 치면서 집으로 들어가는데 우선 우물 주위로 가서 삥 둘
러 서서 우물굿을 지낸다. 그 다음 부엌으로 가서 한바탕 놀면
서 성주를 위한다. 그리고 뒤곁으로 가서 장광에 도착하여 "장
맛 좋아져라"하며 삥 돌면서 친다. 이어 마당으로 다시 돌아와
서 그동안 주인이 차려놓은 상 앞으로 가서 한바탕 굿을 한다.
그 다음 노적봉을 마당에 세운다
노적봉의 길이는 약 10m 정도의 높이이고 장대는 소나무를 주
로 썼다. 소나무 장대의 윗부분에 짚을 동그랗게 싸매는데 한번
꺽은 다음 줄로 두번 정도를 단단히 묶는다 그러면 마치 사람의
머리와 같은 모양이 된다
그리고 이 노적봉을 세우기 위하여 새끼줄을 이용하여 삼발을
세우게 도는데 기운데와 양 옆쪽의 3군데를 잘 묶어 땅에 묶으
면 똑바로 선다
이러한 노적봉을 정월에 세우는 의미는 "정월 초하루에 이것
을 세워 신나게 논 다음 다음 달인 2월 초하루 때에도 또와서 먹
고 놀겠다"는 뜻을 지닌다
예로부터 녹평리에서는 음력 2월 초하루날은 매우 큰 명절로
쳤다. 그런 이유로 노적봉을 정월 14-15일간 세워놓고 2월 초하
루 때 노적봉이 세워진 집을 다시 한번 방문하여 신나게 놀기 때
문이다.
마을에서 웬만큼 살만한 집만 설별하여 들어가는 이유는 "당신
은 먹고 살만 하니까" 다같이 술 좀 먹자 2월 초하루 대도 먹자
라는 뜻을 지닌다
2월 초하룻날 노적봉이 세워진 집을 방문하여 다 놀은 후에 세
웠던 노적봉을 태우거나 부셔서 없애 버린다. 이 노적봉은 매년
새로 만들었다. 이 놀이는 6.25이후로 점점 쇠퇴하여 사라져 있


<비봉면 녹평리 명재현, 최순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