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민속놀이 ▶동화놀이 ▶정산면 송학리 하송마을 | ||||
---|---|---|---|---|---|
작성자 | 청양문화원 | 등록일 | 2003-03-10 | 조회 | 682 |
첨부 | |||||
하송마을에서는 정월 14일 밤에 동화제를 지낸다. 이 마을은
제당의 형태는 없고 마을 회관 옆 마당에서 나무를 쌓아놓고 제 를 지낸다 제사 준비는 부녀회장, 제주는 다복한 사람, 부부해로한 사람 대동계장, 이장이 제물준비를 한다 비용은 예전에는 걸립으로 마련했다. 정월 초에 하든지 보름 뒤의 엿세날에 했다. 보름날 써야하는 비용은 그전에 마련해 놓 은 걸 사용한다. 예전에는 정월 초이틀부터 마을의 농악대가 걸 립을 하여 동화제의 기금을 마련하였다 근래에는 걸립을 하지 않은 지 오래됐다. 현재 비용 마련 방법 은 풍물패가 각종 대회(청양. 대전 등)에 나가서 입상하여 벌어 온 상금으로 충당한다. 제물은 삶은 돼지머리를 올리는데 돼지를 잡아도 돼지머리만 올린다. 이유는 어려운 동네여서 머리만 올리던 것이 지금까지 유지되고 있다 동화제에 쓸 나무는 집집마다 나무 한 짐을 해서 모은다. 아마 도 고랑덤불의 거시덤불을 제거하기 이해 했다고 한다. 잡목은 가시나무로 보인다 나무는 7매듭으로 묶으면 세울 때에는 예전에는 등으로 밀어 서 세웠다 10명 정도 당기는 사람이 있으며 상목으로 세운다. 근래에는 3년 전부터 포크레인을 사용해서 세운다. 나무를 못 가져오는 경우 짚을 가져온다 저녁 해 질 무렵이 되면 기를 앞세워 풍물을 치며 제장에 도착 한다. 동화제의 불을 붙이는 것은 아들을 못 낳은 사람이나 총 각이 불을 붙인다. 이것은 소원이 이루어진다는 속설이 있기 때 문이다. 동화를 세운 곳에서 제물을 차리고 술을 올린 후에 춝 을 읽은 후에 절을 한 후에 소지를 올리는 것으로 제의는 끝이 난다. 제 의가 끝이 나면 아이들은 쥐불놀이를 하며 논둑을 태운다. 동화 제를 지내지 않았던 50년대 말에 마을에 불이 많이 난 적이 있었 다. 제 이후에는 윷놀이를 하며 논다. 집집마다 다니며 풍장을 치 면서 가택을 위하는 굿도 한다. 자금이 없으니깐 가택굿을 하면 서 쌀을 조금씩 받아서 마을 기금으로 쓰기도 하였다 <정산면 송학리 하송마을 오영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