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메뉴 닫기
서브페이지 배경
마을신앙▶노신제(거리제) ▶정산면 남천리 게시판 상세보기

[청양문화원] - 민속 내용 상세보기 입니다.

제목 마을신앙▶노신제(거리제) ▶정산면 남천리
작성자 청양문화원 등록일 2003-03-19 조회 907
첨부  
 
【정산면 남천리 노신제(거리제)】

▶마을 개관
청양군 정산면 남천리는 인근의 공주시 우성면 봉현리와 연결
되어 있다. 따라서 행정구역상으로는 각각 청양군과 공주시이
지만 실제로 생활권은 같다. 곧 애경사와 같은 일이 있으면
두 마을 주민이 같이 참여하며, 주요 동네 행사도 같이 하
고 한다. 마을 위의 고개 쪽으로 남천리이고, 아래 쪽으로는
봉현리이다.
남천리는 새울, 짝바위, 새터울, 안묘동, 성주동, 탑골, 고양
골(고양동)로 이루어져 있다. 이 지역은 산촌의 형태는 몇 가
구씩 모여 마을을 이루고 있다.
새울은 조곡(鳥谷)이라고도 하며, 비록 소개위의 골짜기이지
만, 예전에는 30가구에 이으렀지만 현재는 20가구 정도에 불과
하다. 이 마을의 동화제가 오랜 역사를 지니고 있다.
한편 새터울은 현재 남천리 마을회관 쪽의 마을을 말한다. 현
재 남천리는 약 60여호로 이루어져 있다.
봉현리는 제보자가 30대인 1960년대에는 114호였으나, 현재
약 80호도 채 되지 않을 정도로 줄었다. 위쪽에서부터 굴티,
갓모레기, 사룡동(四龍洞), 무재, 당골, 묘제로 이루어져 있
다.
갓모레기는 관수동(冠首洞)이라고도 하는데, 머리에 갓을 쓴
형상의 마을이란 뜻을 지닌다. 사룡동(四龍洞)은 산세가 4마리
의 용이 있는 형세를 지니고 있다. 실제로 아래에 큰 운을 타
고 난 집안이 잇다. 면암 최익현 선생이 출신지는 포천이지만
한일합방 이후에 이곳에 정착해서 현재 모덕사라는 사당이 있
다. 묘는 예산군 대흥리에 위치해 있으며 면암 선생의 고손인
최창규(현 성균관장)씨가 이곳 목면초등학교 출신이다.
묘제는 1,2반으로 나뉘며 현재 약 30호 정도이다. 일제시대에
는 이곳이 1, 2구로 나뉘었으며 개울 저쪽은 산연, 이곳은 수
연이라고 하였다.

▶소재지 ; 충청남도 청양군 정산면 남천리

▶전 승
한때 인근 남천리 새울의 동화제가 중단되어 이곳에서도 중단
하려고 했으나 논란 끝에 계속하게 되었으며, 다행이 남천리
가 곧 복원되어 지금은 같이 전승하고 있다. 이곳 노신제가 먼
저 지네며, 이곳이 끝난 다음에 인근 남천리로 옮겨 동화제에
참여한다. 그래서 두 마을이 어울려 밤을 새우며 풍장을 치며
논다고 한다.

▶의 례
▷제의 명칭 : 노신제(거리제)

▷시기와 장소
음력 정월 14일 저녁에 남천리의 이웃의 우성면 봉현리에서는
노신제를 지낸다. 제사는 저녁에 시작해 대략 오후 9시경에 끝
나며 시작 시간에 따라 약간 차이가 난다. 원래 이곳 노신제
는 정월 15일에 지냈으나 약 20~30년 전에 돌아가신 한 노인
이 다른 마을에서는 보름 행사가 모두 14일이라고 해서 날짜
를 15일에서 14일로 바꾸었다.
따라서 정산면 남천리의 동화제와 같은 거의 비슷한 시간대에
실시한다. 시간상으로 이곳 노신제가 약간 먼저 끝나며, 이 마
을 주민들은 이웃의 남천리의 동화제 장소로 이동하여 동화제
에 참여한다.

▷제관 선정
음력 1월 3일에 걸립하고 화주를 정하며, 화주 집에서 술을 담
근다. 걸립을 할때에는 정성을 들여야 한다고 생각해서 풀물
을 치며 집집마다 다니며 쌀과 돈을 걷는다.

▷제의 과정
우선 학교 앞에서 위쪽으로 길가에 홰를 설치한다. 제의는 풍
물을 앞세우고 우선 샘에서 ‘유왕제’를 지낸다. 거듭 확인했
으나 이곳에서는 용왕제가 아니고 유왕제라고 발음 하였다.
이 샘은 제보자의 집 앞에 있으며, 음력 1월 12~13일에 금줄
을 치고 깨끗하게 품어낸다. 현재는 폐샘이 되었으나 지금도
이곳에서 유왕제를 지낸다.
이어 홰에 불을 붙인 다음에 개울가의 느티나무(길 옆 가게 앞
에 위치했으나 고사함)가 있던 곳에서 거리제(노신제)를 지낸
다. 홰패는 20호에서 2개씩을 준비해서 모두 40개를 세운다.
각 가정에서 2개씩을 준비하는 이유는 집안의 대주가 부부를
합쳐서 2인이기 때문이다. 유왕제를 지내고 거리제 지내러 갈
때는 불을 붙인다. 일제히 불을 붙이면 학교 앞 큰 길이 꽃밭
과 같다고 한다. 제물로 쓰는 떡은 쌀 3되를 사용해 흰무를 한
다.
예전에는 무당을 불러 축원했다. 이때 복을 비는 대상은 2인
의 대주로 각각 권명대주, 곤명대주이며 이들은 각 집안의 세
대주와 그 부인을 일컫는다. 따라서 이곳에서는 축문을 읽지
않는다. 그러나 근래에는 비용이 나가기 때문에 무당을 부르
지 않고 화주가 대신 축원을 한다.
마지막으로 소지를 올릴 때에는 화주부터 먼저 올린다. 그리
고 각 집의 호주(대주)들의 나이를 따져 나이 순서에 의해
차례로 소지를 올린다.

-(정산면 남천리, 김원중)- 칠갑문화 12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