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메뉴 닫기
서브페이지 배경
마을신앙▶거리제(향단제) ▶남양면 봉암1리 게시판 상세보기

[청양문화원] - 민속 내용 상세보기 입니다.

제목 마을신앙▶거리제(향단제) ▶남양면 봉암1리
작성자 청양문화원 등록일 2003-03-21 조회 774
첨부 hwp 0705d_368.hwp
【남영면 봉암1리 향단제】

▶소재지 : 충청남도 청양군 남양면 봉암1리

▶형태와 위치
향단제는 해마다 음력 정월 초이렛날 마을에 있는 은행나무를
모시는 제이다. 향단제가 언제 어떻게 해서 생겼는지 알 수는
없으나 마을 사람들은 이 마을이 생기면서부터 지내왔다고 한
다. 다만 이 마을에 살던 천적꾼인 조영도씨의 생가가 지금도
남아있고 그 집 마당 안에 이 은행나무가 세워져 있는 것으로
보아 짐작해 볼 수 있을 뿐이다. 향단제는 마을 사람들이 한
해 동안 아무 사고 없이 잘 지낸 수 있도록 하는 의미에서 지
낸다.
산제당은 마을내 은행나무 옆에 위치해 있다. 옛날에는 초가지
붕과 나무기둥으로 지어졌다가 더럽고 낡게 되자 1980년대 중
반에 함석지붕과 벽돌로 산제당을 다시 지었다. 크기는 두 평
반으로 부엌과 방이 각각 한 칸이다.

▶의 례
▷제의 명칭 : 향단제

▷제의 시기 : 매년 음력 정월 초이렛날

▷제관 선정
제 지내기 약 열흘 전에 경로회장이 책을 보고 생기복덕을 보
아 화주와 축관, 이장을 선정한다. 특히 화주와 축관은 대개
나이가 50세 이상 된 사람으로 제일의 일진이 좋은 사람으로
뽑는다.

▷비 용
옛날에는 풍물을 쳐서 집집마다 성의껏 낸 쌀로 마련됬
으나,
1970년대부터 400평가량의 마을 논에서 수확한 곡물로 제의 비
용을 충당하고 있다. 제비는 약 15만원정도이다. 제기는 옛날
부터 전해지는 것을 사용하며, 제기를 보충하는 의미네서 구입
한 것도 있고 매년 산제당에 보관하고 있다.

▷제 물
제 지내기 삼일 전에 동회장과 이장이 시장에 가서 제물을 구
입해 산제당에 보관하게 된다. 이 때 가릴 것은 상주집의 물건
을 사지 않고, 물건값을 깍지 않으며 눈이 뚜렷한 명태, 흠집
이 나지 않은 과일을 골라 성의껏 장을 본다. 제물은 사과,
배, 밤, 곶감, 산자, 포, 과자, 김, 약과, 향, 소지종이(5권)
를 산다. 또 제가 끝나고 동네 사람들이 함께 나눠 먹을 음식
도 준비한다. 소주 1박스와 과일, 음료수, 동태, 반 상자 등
을 준비한다.

▷금 기
성전된 화주와 축관은 부정한 것을 보지 않기 위해 부정한 자
리를 피하며 삼일동안 목욕제계를 히여 몸을 정갈하게 한다.
특히 화주는 제 지내기 3일 전부터 은행나무 옆에 지어 놓은
산제당에 들어가 삼일동안 밤낮으로 기도를 드린다. 산제당을
청소하고 마을로 들어오는 입구마다 길지를 꽂은 금줄을 치고
황토를 세 군데씩 뿌려 부정한 사람의 출입을 금한다. 또 은행
나무와 산제당에도 금줄을 쳐서 부정을 막는다. 이때 금줄은
화주가 직접 만든다.
마을 사람들은 예전에 제일전 일주일동안 나무를 하러가지 않
다가 지금은 삼일동안 산에 가서 나무를 하지 않는데, 그 이유
는 피를 보게 되면 부정을 탄다고 여기기 때문이다. 만일, 제
를 지내기 몇 일전에 마을에 출산이나 초상, 가축이 죽는 일
등이 발생하면 부정하다고 여겨 날을 연기해서 다시 잡는다.
실제로 향단제가 끊긴 해는 한번도 없었고, 해방 전의 홍역이
돌았을 때와 화주가 부정한 마음을 먹어 산 닭이 차려놓은 제
물 위에서 죽은 일이 발생해서 날을 물린 경험이 있다고 한
다.

-(남양면 봉암 1리, 이전남, 정삼용, 장청환, 정한기)- 칠갑문
화 12호
※첨부파일(제의절차)을 첨고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