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마을신앙▶거리제(장승제)▶대치면 대치리 | ||||
---|---|---|---|---|---|
작성자 | 청양문화원 | 등록일 | 2003-04-02 | 조회 | 804 |
첨부 | |||||
【대치면 대치리의 장승제】 ▶마을 개관 이곳 한티(대치)에 약 20호중에서 안대울에 파주 염씨 5가구 가 살고 있다. 이 마을은 예전에는 약 50호의 큰 마을이었다. 인근 오룡리는 이곳 보다 큰 마을로 그곳에서는 산제를 지낸 다. 란편 광대리는 30가구 이상이 사는데, 예전에는 50가구가 넘는 이곳보다 큰 마을이었다. ▷대치 고개 이 고개는 등짐장수들이 많이 드나들었다. 고개 위에 도적들 이 많아서, 이마을에 지서가 있었자. 청양장은 2,7일이고, 정 산장은 5,10일이다. 따라서 지서에서 이들 등짐장수들을 보호 했다. ▶소재지 : 충청남도 청양군 대치면 대치리 ▶형태와 위치 ▷수 량 : 10기(5쌍) ▷크 기 : 높이 210~240Cm, 둘레 50Cm ▶제작 방법 장승을 깍는 날은 음력 1월 14일이며, 남녀장승을 만든다. 남 장승은 배가 나오고, 여장승은 배가 들어간 형국이다. 따라서 나무를 선택할 때에 이미 이런 모양의 나무를 선택한다. 장승 을 세우는 시간은 음력 1월 14일 오후 4~5시이며, 제사는 다음 날 새벽에 실시한다. 남자 장승 몸통에는 “天上天下逐鬼大將軍”라고 새기며, 여 자 장승에는 “東西南北逐鬼大將軍”라고 새겨 놓는다. ▶의 례 ▷제의 명칭 : 장승제 ▷제의 시기 : 음력 1월 15일 새벽 3~4시에 제사지낸다. ▷화주와 축관 선정 화주의 선정은 제일을 택할 때 함께 선정한다. 깨끗한 사람중 에 화주와 축관 1인을 뽑는다. 화주는 제사를 주과하며, 축관 은 장승푹을 읽는다. 예전에는 축문을 읽지 않았다. ▷부 정 부정에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걸립은 실시하는 음력 정월 3일 부터 15일 제사 지낼 때 까지 지속된다. 상여를 보거나, 상처 가 나거나 출산을 부정으로 본다. 한편 짐승을 잡는 경우, 초 상을 당한 경우 모두 부정이다. 화주는 부인이 달거리(월경) 를 하는 경우에도 부정이라 하여 밭을 수 없다. 따라서 식구 가 많은 집에서는 화주를 보지 않는 경우가 많다. ▷제 비 군의 지원금과 마을을 돌며 쌀이나 돈을 약간씩 걷어서 충당한 다. ▷제 물 준비는 제일 1~2일 전에 제주가 구입을 한다. 제물은 삼색실 과, 백무리(백설기), 담근 술을 사용했다가 그리고 막걸리는 주민이 먹고 놀기 위해 구입한다. 예전에는 돼지를 사용하지 않았으나 10년 전부터 돼지를 잡는다. ▷제의 과정 술을 올리고 절을 하는 방식은 다른 곳과 같다. 소지는 한 집 에 호주만 올리며, 특별히 군대 갔거나 외지에 나간 자식을 위 해 올리는 경우도 있다. 소지를 올리는데 약 2시간 정도 걸린 다. 제의가 끝나면 북어와 삼색실과 백지에 싸서 새로 세운 장 승의 목에 건다. -(대치면 대치리, 염태섭)- 칠갑문화 12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