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홈으로
사이트맵
청양 문화원
주메뉴영역
문화원에 오신걸 환영합니다.
소개마당
인사말
연혁
조직 및 업무
시설현황
오시는 길
문화소식
문화소식
축제소식
청양의 문화
문화학교
문화학교
자료마당
문화원 자료실
사진 자료실
영상 자료실
참여마당
회원가입
공지사항
보도자료
사이버향토사료관
소개
발행도서현황
사이버향토사료관
메뉴보기
모바일용 메뉴
청양문화원
도내문화원 바로가기
공주문화원
금산문화원
논산문화원
당진문화원
보령문화원
부여문화원
서산문화원
서천문화원
예산문화원
온양문화원
천안시동남구문화원
천안시서북구문화원
청양문화원
태안문화원
홍성문화원
사이트맵
소개마당
인사말
연혁
조직 및 업무
시설현황
오시는 길
문화소식
문화소식
축제소식
청양의 문화
문화축제
문화재
역사
인물
민속
지명
문화학교
문화학교
자료마당
문화원 자료실
사진 자료실
영상 자료실
참여마당
회원가입
공지사항
보도자료
사이버향토사료관
소개
발행도서현황
사이버향토사료관
모바일메뉴 닫기
서브페이지 배경
홈페이지가이드
문화소식
민속
홈
문화소식
청양의 문화
민속
페이스북
트위터
인쇄
총게시물 :
354
/
페이지 :
16/36
게시물검색
검색조건
제목
글내용
작성자
세시풍속 ▶칠월(七月)→칠석(七夕)
▶칠석(七夕) 7월 7일은 칠석이라 하여 명절중에 하나이다. 칠석날에는 은하 수 중간쯤 은하수를 사이에 두고 동쪽 가장자리에서 빛나고 있 는 별이 견우성이고 서쪽에서 빛나고 있는 별이 직녀성인데이 두별이 만나는 날이...
작성자 :
청양문화원
조회 :
792
2002.05.08
세시풍속 ▶유월(六月) →유두(流頭) 외 6편
6월은 늦여름으로서 소서(小署)와 대서(大署)의 절기로서 무더위 가 기승을 부리는 삼복(三伏)더위가 대개 이달에 들어있다. 6월 은 대체로 비가 많이 오는 적기로 앉은 방석도 옮기지 않는다고하여 이사가는 일등을 꺼려...
작성자 :
청양문화원
조회 :
775
2002.05.08
세시풍속 ▶오월(五月)→단오 외8편
▶단오(端五) 5월 5일은 단오날이다. 이날을 "수리" 수릿날 또는 천중일(天中 節)이라고 부른다. 이날은 해가 가장 뚜렸하고 정오때가 되면 한가운데에 온다하여단오 또는 천중절이라 했다. 옛날엔 농경의 풍작을 기원하...
작성자 :
청양문화원
조회 :
790
2002.05.07
세시풍속 ▶사월(四月)→초파일(初八日)
【사월】 사월은 초여름으로 입하(立夏)와 소만(小滿)의 절기이다. 모판에 서는 모가 한창 자라고 보리 이삭이 익어간다 ▶초파일(初八日) 음력 4월 8일은 석가모니가 탄생한 날이며 불가의 가장 큰명절이다. 이날은 부처...
작성자 :
청양문화원
조회 :
760
2002.05.06
세시풍속 ▶삼월(三月)→삼짓날 외5편
▶삼짓날 3월 3일은 삼짓날이라고 한다. 이무렵이면 날씨도 온화하고 산 과 들에는 꽃들이 피기 시작하며 강남으로 갔던 제비들이 돌아온 다. 삼짓날에는 갖가지 나비들이 꽃을 찾아 날아드는데 이 나비 를 보고 점을 치기...
작성자 :
청양문화원
조회 :
784
2002.05.06
세시풍속 ▶이월(二月)→꽃샘바람
2월에서 3월로 넘어가는 며칠간은 봄인데도 바람이 매섭고 눈이내는 수도 있다.봄이 찾아와 나무에 새움이 트고 꽃봉오리가 부풀어 오르니 바람 이 샘이나서 매섭게 바람을 불게한다 하여 이 바람을 꽃샘바람이라 한다. 어떤...
작성자 :
청양문화원
조회 :
760
2002.05.06
세시풍속 ▶이월(二月)→한식날
동지후 105일째 되는날이 한식날이다. 3월에 드는 때도 있으나 2월에 드는 해가 많다.한식날에는 조상의 묘를 찾아가 제물을 차려놓고 제사를 지내는 데 이를 한식차례라 한다 묘가 허물어져 있으면 흙을 채우고 떼를 입...
작성자 :
청양문화원
조회 :
777
2002.05.06
세시풍속 ▶이월(二月)→경칩날(驚蟄日)
경칩 무렵에는 날씨가 따뜻해서 싹이트고 동면하고 있던 짐승들 도 땅속에서 나온다. 이날 농촌에서는 논이나 도랑 같은 물이 고여있는 고에서 개구 리 알을 건져다 먹는다. 경칩날 흙일을 하면 탈이 없다고 하여 벽을 바르...
작성자 :
청양문화원
조회 :
757
2002.05.06
세시풍속 ▶이월(二月)→좀생이 점
2월 6일 농가에서는 좀생이 별을 보고 일년일을 점친다. 좀생이는 겨울하늘 남쪽에 있는 오리온 자리의 서쪽에 위치한 황 소자리에 있는 별무리를 점치는데 써왔다.좀생이는 여러개의 별들이 쫌쫌히 있다하여 좀생이라 부르는...
작성자 :
청양문화원
조회 :
748
2002.05.06
세시풍속 ▶이월(二月)→장닭꼬리보고 점치기
2월 초라후날 장닭꼬리가 날릴 정도로 바람이 불면 봄철에 바람 이 많이 불것이라고 점치기도 했다
작성자 :
청양문화원
조회 :
754
2002.05.06
««
«
16
17
18
19
2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