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청양읍 벽천리 ▶대양산 외 10 | ||||
---|---|---|---|---|---|
작성자 | 청양문화원 | 등록일 | 2002-03-28 | 조회 | 996 |
첨부 | |||||
【벽천리(碧泉里)】 馬韓(마한)때는 拘盧局(구로국)에 속했다가 百濟(백제)때는 古良 夫里縣(고량부리현)에 속했으며 新羅(신라)때는 靑正縣(청정현) 에 속했고 高麗(고려)때는 靑陽縣(청양현)에 속했으며 李朝(이 조)때는 靑陽郡(청양군)에 속해서 李朝末葉(이조말엽)엔 靑洋郡 邑內面(청양군 읍내면)의 地域(지역)으로서 碧亭里(벽정리) 隱泉 東(은천동) 一附(일대)와 南上面(남상면)의 新垈里(신대리) 笠洞 (입동) 上赤里(상적리) 各 一部(각 일부)을 병합하여 碧亭(벽 정)과 은천의 이름을 따라 碧泉里(벽천리)라 하여 邑內面(읍내 면)에 속했다가 1917년 面命改稱(면명개칭)에 따라 靑陽面(청양 면)에 속했고 그 후 面 昇格(면 승격)에 따라 靑陽邑(청양읍)에 속하게 되었다 ▶대양산 <대방굴>뒤에 있는 산을 <대양산> 또는 <대방굴산>이라고 부른 다. 산이 대들보처럼 생겼다 해서 <대양산> <대방굴산>이라고 부르는 데 燕巢形(연소형)의 명당이 있다는 산이다. ▶돌담불 <벽정> 남서쪽으로 마을이 있는데 이 마을 <돌담불> 또는 <石村 석촌>이라고 부른다. 옛날 한 長者(장자)가 이 곳에 石塚(석총)을 썼었고 또한 돌담불 로 된 옛 무덤이 많았었는데 倭人(왜인)이 모두 발굴해 갔다. 돌담불로된 옛 무덤이 있는 마을이라 <돌담불> 또는 <石村석촌> 이라고 부르는 마을이다. ▶된바우 <은천동>뒤에 바위가 있는데 이 바위를 <된바우> 또는 <도인바우 >라고 부른다. 바위 모양이 사람처럼 생긴 바위이다 ▶들뜸이 <고리섬들>에 마을이 있는데 이 마을을 <들뜸이> <들말> <야촌> 이라고 부른다. 들에 마을이 있다 해서<들뜸이> <들말> <야촌>이라고 부르는 마 을이다. ▶마양원(馬養院)터 <벽천리>에 옛날의 원터가 있는데 여기를 <馬養院터라> 부른다. 이조때 마양원이 있었던 자리이다 ▶먹고개 <은천동>에서 <적누리>로 넘어가는 고개를 <먹고개>라고 부른다. 고개 흙빛이 검다 해서 먹처럼 검은 흙빛이라 <먹고개>라고 부른 다 ▶벽정(碧亭) <대방굴>아래에 마을이 있는데 이 마을을 碧亭(벽정)라고 부른 다. 李希良(이희량)이 세운 碧涵亭(벽함정)이 있었던 마을이라 碧亭 (벽정)이라고 부른다. ▶부엉바위 <대양산>아래에 바위가 있는데 이 바위를 <부엉바위>라고 부른 다. 옛날부터 부엉이가 살아서 항상 부엉이가 우는 바위가 이 바위였 다 한다. 부엉이가 살면서 우는 바위라하여 <부엉바위>라 부른다 ▶은적이 <碧亭벽정> 북동쪽 골짜기에 마을이 있는데 이 마을을 <은적이> <隱泉洞(은천동)>라고 부른다. 폭포가 있는 마을이라 <隱泉洞(은천동)> <은적도>라고 부른다. 隱泉洞(은천동)에 있는 폭포는 높이가 약3m나 된다 ▶제비재 <벽천리>와 <적누리>경계에 있는 산을 제비재라고 부른다. 산위 成(토성)터가 있어서 <연티산성>이라고도 부르는데 燕巢形 (연소형)의 명당이 있다해서 <제비재>라고 부른다. <제비재>에 마을이 있는데 이 마을도 산명을 따라 <제비재>라고 부르고 <연티>라고 부른다 ▶태미산 <碧亭벽정>동쪽으로 碧泉里(벽천리)와 校月里(교월리) 경계에 있 는 산을 <태미산>이라고 부른다. 산위에 토성이 있었는데 마치 테를 두른것 처럼 생겼다 하여 <태 미산>이라고 부른다. 산에 폭포가 있는데 靑陽(청양)원이 관기를 데리고 놀다가 폭포 에 빠져 죽었다 한다. ▶옻샘 벽천리2리 동편 기슭에 옻샘이란 샘이 있다. 물이 좋아서 여름엔 물이 차고 겨울엔 물이 따뜻한데 만병통치약 으로 통하는 물이다. 특히 옻에 오른 사람은 3일간만 이 물로 목욕을 하면 옻이 낮고 속병이 있는 사람도 3년간만 샘물을 마시면 속병이 낮는다 해서 널리 알려진 약수터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