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운곡면 모곡리 ▶가정자 외9 | ||||
---|---|---|---|---|---|
작성자 | 청양문화원 | 등록일 | 2002-04-01 | 조회 | 1033 |
첨부 | |||||
【모곡리(茅谷里)】 백제때는 古良部里縣(고량부리현)속했고 신라때는 靑正縣(청정 현) 속했으며 고려때는 靑陽縣(청양현) 속했었다. 이조때는 靑陽 郡(청양군) 속해서 이조말엽엔 靑陽郡(청양군) 北上面(북상면) 의 지역으로서 띠가 많이 있으므로 <띄실> <띠실> <띠아실> 또 는 <모곡>이라 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때 院東(원동) 茅谷里(모곡리) 獐項里(장항 리) 桶山里(통산리) 下九里(하구리) 厚德里(후덕리) 場代里(장대 리) 新垈里(신대리)의 각일부와 북상면의 下高里(하고리) 일부 를 병합하여 茅谷里(모곡리)라해서 雲谷面(운곡면)에 편입되었 다. ▶가정자 <북하장터> 남쪽으로 산등성이가 있는데 여기를 <가정자>라고 부 른다. 산등성이 아래에 정자나무가 있었다 하여 <가정자>라 부르는 등 성이다 ▶가정자원터(加亭子院터) <가정자>아래 <북하장터>에서 남쪽으로 1km거리에 원터가 았는 데 여기가 이조때 원집(加亭子院)이 있었던 자리이다. 원집(加亭子院)이 있었던 곳이라 加亭子院터(가정자원터)라고 부 른다 ▶구만리(九萬里) <통산>북쪽에 마을이 있는데 이 마을이 九萬里(구만리)라고 부르 는 마을이다. 北上川(북상천)이 굽어져 있는 곳에 자리한 마을이다 ▶노루목이 <북하장터>서쪽으로 마을이 있는데 이 마을을 <노루목이>라고 부 른다. 응달과 양달의 두 마을로 나누어졌는데 지형이 노루의 목처럼 생 겼다 해서 <노루목이> <장항리>라고 부른다 ▶북하장터 <원모루>북쪽으로 자리한 마을이 있는데 이 마을을 <북하장터>라 고 부른다. 이조때의 北下面(북하면)의 시장이 있었던 마을이다. 1985년도까지 운곡면의 장이 스던 마을로 북하면의 장터였다해 서 <北下(북하)장터>라고 부른다. 그러나 1986년경에 폐장되었다. ▶상구리(上九里) 九萬里(구만리)위쪽으로 마을이 있는데 이 마을을 <上九里>라고 부른다. 구만리 위쪽으로 마을이 있다 해서 부르는 마을이다. ▶성미 <노루목> 서쪽으로 <성산>아래에 마을이 있는데 이 마을을 <성미 >라고 부른다. <성산>아래에 자리해 있는 마을이라 <성미> <성산리>라 부른다 ▶원모루 <띠실> 동쪽으로 마을이 있는데 이 마을을 <원모루>라고 부른 다. 이조때 行人(행인)의 便宜(편의)을 도와주는 加亭子院(원집)이 있었던 마을이라 <원모루> <원동>이라고 부른다 ▶통미 <노루목이> 북쪽으로 산이 있는데 이 산을 <통미>라고 부른다. 산아래에 마을이 있는데 이 마을도 산명에 따라 <통미>라고 부른 다 ▶하구리(下九里) <九萬里> 아래쪽으로 마을이 있는데 이 마을이 下九里(하구리)라 고 부르는 마을이다. 구만리 아래쪽에 자리한 마을이라 하구리라 부른다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