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메뉴 닫기
서브페이지 배경
운곡면 광암리 ▶학교말 외8 게시판 상세보기

[청양문화원] - 지명 내용 상세보기 입니다.

제목 운곡면 광암리 ▶학교말 외8
작성자 청양문화원 등록일 2002-04-01 조회 572839
첨부  
 
【광암리(光岩里)】 
百濟(백제)때는 古良部里縣(고량부리현)에 속했고 新羅(신라)때
는 靑正縣(청정현)에 속했으며 高麗(고려)때는 靑陽縣(청양현)
에 속했었다.
李朝(이조)때는 靑陽郡(청양군)에 속해서 李朝末葉(이조말엽)엔
靑陽郡(청양군) 北下面(북하면)의 지역으로 木果洞(목과동) 休洞
(휴동) 水令洞(수령동) 上斗里(상두리) 萬毛里(만모리) 각일부
를 병합하여 野光(야광)과 白岩(백암)의 이름을 따서 光岩里(광
암리)라 하여 雲谷面(운곡면)에 編入(편입)되었다.

▶학교말
光岩(광암)초등학교 부근에 마을이 있는데 이 마을을 <학교말>이
라고 부른다.
마을이 1959년 學敎(학교)가 設立(설립)된 후에 이루워졌다고 해
서 <학교말>이라고 부른다.

▶시령굴
<맞바위>동쪽으로 마을이 있는데 이 마을을 <시렁굴>이라고 부른
다.
마을 부근에 옛날에는 수렁이 많아서 <수렁굴>이라고 불렀는데
변해서 <시렁굴>이라고 부른다 한다. 守令洞(수령동) 또는 <
수령굴>이라고도 부른다.

▶술울
<맞바위> 남쪽으로 마을이 있는데 이 마을을 <술울>이라고 부른
다.
<수리봉>아래에 자리한 마을로 <수리봉>아래에 있다 해서 수리봉
의 안이란 뜻에서 <술울> <수리울> <휴동>이라고 부른다

▶백암동(白岩洞)
<모과울> 남쪽으로 길가에 마을이 있는데 이 마을이 <백암동> <
백암굴>이라고 부른다.
마을에 흰 바위가 있는데 흰 바위가 마을에 있다해서 <白岩洞백
암동>이라 부르며 변해서 <배암굴>이라고도 부른다

▶모과울
白岩洞(백암동) 옆으로 마을이 있는데 이 마을을 <모과울> <木果
洞목과동)이라고 부른다.
마을에 모과나무가 있다해서 <모과울> <木果洞>이라고 부른다 한
다.

▶맞바위주막거리
<맞바위>가 있는 길을 <맞바위주막거리>라고 부른다.
옛날부터 주막이 있어서 많은 사람이 드나들던 주막거리다.
<길가다가 맞바위 한잔하고>란 시구가 있을 정도로 유명했던 거
리다.

▶맞바위
<도마제> 남쪽으로 길가에 큰 바위가 있는데 이 바위가 <맞바위
> <두암>이라고 부르는 바위이다.
바위 둘이 마주보고 있다해서 <맞바위>라고 부른다고 한다

▶도마제
<맞바위> 아래쪽으로 마을이 있는데 이 마을을 <도마제>라고 부
른다.
<두암동> 아래쪽으로 마을이 있다해서 <도마제> <하두> <下斗里
하두리>라고 부른다.

▶둔벙고개
光岩里(광암리)에서 公州(공주)으로 넘어가는 고개가 있는데 이
고개를 <둔벙고개>라고 부른다.
광암리 고개 넘어에 웅덩이가 있는 곳으로 가는 고개라 하여 <둔
벙고개>라 부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