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전설 ▶ 남양면 금정리 ▷사양치의 금정 사람들 | ||||
---|---|---|---|---|---|
작성자 | 청양문화원 | 등록일 | 2002-06-11 | 조회 | 900 |
첨부 | |||||
사양리에서 부여군 은산면으로 넘어가는 고개가 있는데 이 고개 를 <사양치> <사양재>라고 부른다. 옛날 백제때에 지금의 남양면 금정리 사람들은 마을에 좋은 우물 이 있었으므로 그 우물울을 왕이 마신다 해서 매일 물을 길어 가 지고 부여 궁중까지 날라야 했다. 그들은 백제의 백성이였으므 로 싫으나 좋으나 새벽에 물을 길어 가지고 부여에 가서 궁중에 물을 바치고 이 고개에 들어서면 꼭 노을이 지기 시작한다 하여 그들이 <사양치> <사양재>라고 이름지은 고개이다. 백제 말엽 의자왕이 꼭 이 물만 마셨으니 백성들을 어지간히 괴 롭힐 때였다. 싸리나무가 무성한 싸리재를 넘어서 하루는 그들이 힘겨움게 물 둥이를 지고가는데 어제까지 없었던 초막이 생기는 것이 여간 반 가운 일이 아니었다. 이곳에 초막을 지은 사람은 중년이 훨씬 넘 은 아낙네였다. 그런 후부터는 금정 사람들이 곡식을 갔다 주곤 해서 그 아낙네는 쌀을 갈아서 떡을 만들어 지나가는 그들에게 팔곤해서 그 아낙네는 잠깐사이에 집에 짓고 이제는 술까지 빚어 서 팔곤했다. 금정사람들은 으례히 아침에 집을 출발하면 이 고 개에서 쉬어갔다. 그리고 돌아올때는 이곳에 머므르며 술을 마시 곤 했었다. 어느 누구보다 궁중을 왕래하는 그들이었으므로 궁중 안팎의 일에 훤해진 그들은 날이 갈수록 그 아낙네에게 모두 알 렸다. 처음은 궁중안이 후비가 몇이나 되는등 궁녀들은 치장을 어떻게 하느냐는 등 평범한 것부터 물어보다니 날이 흐를수록 요 즈음 나라군사들은 어디로 많이 빠져나가냐는등 윤충장군은 어떻 게 지내냐는등 어려운 문제룰 부탁하였지만 순박한 그들은 조정 에서 들은 그대로 그 아낙네에게 흥미롭게 모두 알렸다. 그런던 어느날 그 아낙네는 하루사이에 감쪽같이 없어졌다. 그래도 순진 한 금정사람들은 그 아낙네가 친정이라도 다니러간 것으로 그리 알고 었었다. 아낙네는 사흘이 되어 돌아왔다. 혼자 살기가 괴로워서 친정집 에 잠깐 다녀왔다고 했다. 그후 금정사람들은 그 아낙네가 시키 는 대로 말을 잘 들었다. 백제는 지금 태평세월을 보낼 때가 아 니라는 것도 알려주었고 의자왕이 지나치게 방탕을 한다는 이야 기도 알려주었고 충신들이 하나 둘씩 궁중을 떠나간다는 이야기 도 알려주었다. 백마강엔 왕에게 아첨하는 무리들이 밤마다 선유 로 세월을 보내고 궁중의 창고는 비였으며 싸움터에 나간 군사들 이 배가 고파서 허덕인다는 말도 들은 대로 말을 전해주었다. 백제가 어수선할때 이 초막엔 한 아낙네가 더 들어오게 되었다. 그리고선 그 아낙네는 부산하게 고개를 내려가선 며칠씩 지내다 가 돌아오곤 했었다. 금정 사람과 아주 친해진 아낙네는 요즘 은 돈까지 주면서 웅진에는 얼마만큼 군사가 있는지 알아달라 는 부탁도 했다. 허나 그들은 그거야 금정 샘물만 지나가서 성안 을 들어가면 된다고 하고선 웅진에 가서도 사실을 알려다 주었 다. 그런 날이 며칠 흘렀다. 하루는 금정사람들이 물을 지고 조 정에 들어갔더니 백제에 나당군이 처들어왔다는 이야기를 들었 다. 궁중은 부산하게 움직이고 잇었다. 그들은 궁중에 물을 바치 고 돌아오는 길에 사양재에 올라가선 그 아낙네에게 백제안에 라당군이 쳐들어와서 큰일났다고 말을 전했다. 아낙네는 그렇게 되었느냐고 지나가는 말로 그들의 말을 받고선 그들에게 술상을 차려주었다. 그 이튿날도 그들은 물을 짊어지고 가는 길에 사양 재에 들렸더니 초막은 텅 비어있었다. 그리고선 그때부터 한참동 안은 초막 아낙네들이 보이지 않았다. 백제에 라당군이 쳐들어와 서 사비성이 점령되는 그 이튿날도 물을 짐어지고 갔다. 그 이튿 날도 물을 짊어지고 궁중에 들렸더니 물을 받는 사람이 없었다. 그리곤 그냥 물을 버리고 돌아왔었다. 그후 한달이나 지났을까 백제군사들이 모두 자취를 감추고 백제가 망했다는 소문이 금정 까지 들려왔다. 금정사람들은 서글퍼서 한탄을 하다가 하루는 물 을 나르던 한사람이 부여쪽을 살피기 위해 부여로 가는 길에 사 양재를 들렸었다. 아낙네는 산라병들에게 둘러 쌓여서 음식을 먹 고 있었다. 그가 가까이 갔지만 그 아낙네는 모르는 척 하는 것 이었다. 그는 부여로 가다가 돌아서서 마을로 돌아왔다. 그는 마 을에 들어와서는 정정들을 모았다. 그리고는 우리도 속았다고 외 쳤다. 사양재 그 계집이 신라병들과 어울리며 자기를 보고 모르 는 체 하드라는 이야기도 했다, 궁중에 물을 나르던 장정과 마을 사람들이 밤을 타서 사양재 초막으로 들어가서 두 아낙네를 그집 어내어 밧줄로 묶어서 초막에 안에 던지고 불을 질렀다. 불더미 속에서 아낙네들이 살려달라고 외쳤다. 허나 금정사람들은 눈물 을 흘리면서도 초막이 타고 그들이 숨질 때까지 불탄 자리를 바 라보기만 했다. 한 나라의 백성이 정성껏 모신 왕이 죽고 나라 가 망한 슬픔에 복바쳐 그 후론 그들은 사양재를 넘어 다니지 않 았다 한다. 기울은 재라해서 <사양재>라 부르며 지금도 고개에 서 가끔 아낙네가 살려달라고 애원하는 소리가 들린다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