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정산면 용두리 ▶ 노루목고개 외 5 | ||||
---|---|---|---|---|---|
작성자 | 청양문화원 | 등록일 | 2002-08-07 | 조회 | 721 |
첨부 | |||||
百濟(백제)때는 悅己縣(열기현)에 속했고, 新羅(신라)때는 悅城 縣(열성현)에 속했으며 高麗(고려)때는 定山縣(정산현)에 속했었 다. 李朝初葉(이조초엽)엔 定山縣(정산현)에 속해싸닥 李朝末葉 (이조말엽) 高宗(고종) 32年(1896)에 定山郡 邑內面(정산군 읍내 면)의 地域(지역)으로서 龍의 머리처럼 생겼다 하여 <용머리> 또 는 <龍頭(용두)>라 하였는데 1914年 行政區域(행정구역) 개편 때 大面(대면)의 上後洞 下後洞(상후동 하후동)의 名一部(명일 부)를 병합하여 龍頭里(용두리)라고 하고 定山面(정산면)에 편입 되었다. ▶ 노루목고개 <上後洞(상후동)> 南西(남서)쪽으로 고개가 있는데 이 고개를 < 노루목고개>라고 부른다. 고개 地形(지형)이 노루의 목처럼 생겼 다 해서 <노루목고개>라고 부른다. <노루목고개>아래에 마을이 있는데 이 마을도 고개 地名(지명)따라 <노루목고개>라고 부른 다. ▶ 뒷골 <용두> 北東(북동)쪽에 마을이 있는데 이 마을을 <뒷골>이라고 부른다. 뒷쪽으로 마을이 있다해서 <뒷골>이라고 부르는데 <뒷골 > 위쪼거의 마을은 <윗뒷골> <上後洞(상후동)> <뒷골> 아랫쪽에 자리한 마을은 <아래뒷골> <河後洞(하후동)>이라고 부른다. ▶ 범골 <龍頭里(용두리)>에 <범골>이라는 마을이 있다. 옛날에 범이 살 던 곳인데 그곳에 마을이 생겨서 <범골> <虎洞(호동)>이라고 부 르는 마을이다. ▶ 주마뜸 용두리 길가에 마을이 있는데 이 마을을 <주마뜸>이라고 부른 다. 마을에 옛날 주막이 있었따 해서 <주마뜸>이라고 부른다. ▶ 용머리 용두리에 있는 마을이다. 마을 地形(지형)이 龍의 머리처럼 생겼 다 해서 <용머리> <용두>라고 부르는 마을이다. ▶ 장승제 용두리 노루목마을에 옛날부터 전승되어 오고 있는 민속 신앙으 로 매년 정월초 사흩날 장승을 새로 깎아 세우고 장승앞에 제를 올리고 제주집을 오가며 농악놀이를 하며 주민의 무사안녕과 풍 년을 기원하는 민속신앙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