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정산면 학암리 ▶ 마근골 외3 | ||||
---|---|---|---|---|---|
작성자 | 청양문화원 | 등록일 | 2002-08-08 | 조회 | 704 |
첨부 | |||||
百濟(백제)때는 悅己縣(열기현)에 속했고, 新羅때는 悅城縣(열성 현)에 속했으며 高麗(고려)때는 定山縣(정산현)에 속했엇고 李朝 初葉(이조초엽)엔 定山縣(정산현)에 속했다가 李朝末葉(이조말 엽)엔 高宗 32年(고종 32년 1896년)에 정산군 잉면의 지명으로 서 학바위가 있으므로 <학바위> 또는 <학암>이라 하였는데 1914 년 행정구역 개편 때 麻斤里(마근리) 방축리 孔口里(공구리) 鶴 巖里(학암리)라 하고 정산면에 편입되었다. ▶ 마근골 <학바위> 북쪽으로 마을이 있는데 이 마을을 <마근골>이라고 부 른다. 지형이 마을을 마근것처럼 생겼다 해서 <마근골>이라고 부 른다. 이 마을을 北向(북향)인 쪽을 산으로 屛風(병풍)처럼 둘 러 싸여서 氣候(기후)가 溫和(온화)하여 마을이 非山非野(비산비 야) 에 자리하고 있어서 모시와 삼을 재배하는데 新羅(신라)때부 터 사람들이 定羚(수령)하여 모시고 麻(삼)을 재배하여 生業(생 업)으로 삼았었다. 그래서 李朝(이조)때만 하더라도 漠陽(막양) 에서 모시기만 하면 定山(정산)을 가르켰고 定山(정산)에서 麻斤 洞(마근동)의 모시를 최고품으로 생각하였다 한다. 산골에 자리 하였으나 기후가 온화한 곳이다. ▶ 방축골 <마근골> 동쪽에 자리한 마을을 <방축골>이라고 부른다. 옛날부 터 방죽이 있는 마을이라 <방축골>이라고 부른다. ▶ 학바위 <학암>마을 남쪽 산아래에 있는 바위를 <학바위>라고 부른다. 옛 날에 바위 아래에 큰 웅덩이가 있었으므로 황새가 많이 모였었 다 한다. 바위에 <학암>이란 두 글자가 새겨져 있다. <학바위> 북쪽으로 마을이 있는데 이 마을은 <학바위> 地名(지명)따라 <학 암> <학바위>라 부르는 마을이다. ▶ 곡용재 약 300여년 전부터 전래내려오는 미풍양속으로 학암부락 대부분 농가 (50여호)의 청년이상 남자만 모여 고목나무 (현재는 나무 가 없고 다른 느티나무를 식재하였으나 고사하였음) 아래에 음식 등을 차려놓고 제사를 지냄 제주는 제사 5일 전에 길일을 택해 집안에 부정이 없고 여자가 있는 집안에 생리가 없어야 한다. 제 주는 제관, 유사 축관을 부락에서 선출하고 제주로 뽑힌 사람은 매일 찬물에 목욕을 하고 행사에 참여한다. 제사는 매년 정월 14일 12시에 올리고 익일날은 부락민이 모여 풍악과 민속놀이를 즐기고 마을일을 논의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