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목면 대평리 ▶ 가야산 외 5 | ||||
---|---|---|---|---|---|
작성자 | 청양문화원 | 등록일 | 2003-02-26 | 조회 | 551 |
첨부 | |||||
마한때부터 부락형성은 있었으나 부락국가 형성은 없었던 지역이 다. 백제때는 열기현(悅己縣)에 속했고 신라때는 열성현(悅城縣) 에 고려때와 이조때는 정산현(定山縣)에 속했었다. 이조말엽엔 정산군에 속해서 목면 지역으로서 큰 들이 있으므로 <대평골>또 는 <대평동>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혁 개편때 <개야신리> < 상신대리>와 <하신대리> <점동>의 일부를 병합하여 대평리라 하 고 목면에 편입되었다. ▶가야산(佳也山) <대평골>동쪽으로 마을이 있는데 이 마을이 <가야산> <갸야리 > <개미>라고 부르는 마을이다. <봉산>아래에 자리한 마을로서 마을 지형이 <也>자 형이라 한다. 지나는 사람마다 마을 지형이 특별하고 아름다워서 경치가 아름다워 가서 봐야지 알지 말로 표 현 못하겠다는 뜻에 <佳夜美> <佳也山>이라 부르다가 요즘엔 <개 미> <佳美>라고 부르기도 한다. ▶고인돌(支石) 대평골에 고인돌 <支石>12자리가 있다. 신석기시대의 고인돌 로 추정하는 유물이다. 선사시대의 유물로 납작한 돌을 세우고 그 위에 평평한 돌을 덮었다는데 그 속에 신체나 석기, 토기를 넗어 놓은 예 묘인데 여기서는 마석검<磨石劍> 석추<石推> 등이 나왔다. 1960년 하천공사중 돌 아래에서 돌칼 2개와 줄기가 있 는 긴돌촉이 나왔다 ▶새터 <대평골> 남서쪽으로 새로된 마을이 있는데 이 마을을 <세터> 라고 부른다. 마을이 새로 생겼다 해서 <새터>라로 부르는 마을 이다. <새터>아래에 또 마을이 있는데 이 마을은 <새터>아래에 마을이 있다 해서 <아랫새터> <하신대>라고 <새터>위쪽에 자리 한 마을은 <윗새터> <상신대>라고 부른다 ▶점골 <대평골> 북서쪽으로 마을이 있는데 이 마을이 <점골>이라고 부르는 마을이다. 사기점이 있다 해서 <점골> <점동>이라 부르 던 마을로서 지금까지 그리 부르며 전해 내려오는 마을이다 ▶대평골 <가야산>서쪽으로 자리한 마을을 <대평골>이라고 부른다. 큰 들이 있고 그 들에 자리한 마을이라 <대평골> <대평동>이라고 부 르는 마을이다 ▶중방고개 <대평골> 서쪽으로 고개가 있는데 이 고개를 <중방고개>또는 < 간두문고개>라고 부른다. 옛날 정산현과 이웃현과의 경계되는 고 개라 <간두문> <중방고개>라 부른다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