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정산면 서정리(西亭里) | ||||
---|---|---|---|---|---|
작성자 | 청양문화원 | 등록일 | 2003-05-02 | 조회 | 737 |
첨부 | |||||
본래 정산군 읍내리의 지역으로서 읍내 서쪽에 정자가 있었으므 로 서정자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구아대리, 수촌리 , 사직리와 교촌리, 옥거리의 각 일부를 병합아여 서정리 라 해서 청양군 정산면에 편입됨 ▶객사-터[터]: 서정리 55번지, 정산 중학교 교정에 있는 객사 의 터. 한일합방 후 정산 공립보통학교 교사로 쓰다가 소실됐음. ▶경사루-터(景思樓-)[터]: 정산면사무소 앞에 있는 정산루문의 터. 영조 때 정산현감 조발이 선조 때의 현감 사계 김장생의 청 렴결백한 행적을 사모하여 경사루라 써서 담. ▶과-디<구아대, 정산, 정산읍>[마을]: 서정리에서 으뜸되는 마 을, 정산현의 관아가 있었음. ▶관모-봉[산]:정산 남쪽에 있는 산. 모양이 갓모처럼 생겼음. ▶구층-탑(九層塔)<정산 서정리 구층석탑,녹야탑>[탑]:서렁리 16 번지밭에 있는 탑. 높이 약 4.5미터. 쑥돌로 9층을 쌓았는데, 그 솜씨가 기묘하여 보물 제 18호로 지정됨. 고려이전으로 추정된 다. ▶동헌-터[터]: 서정리의 496-1번지에 있는 정산군의 동헌 터. 1914년 군면 폐합에 따라 청양군에 편입되어 현재 정산면사무소 가 됨. ▶만향-정[터]: 백연지에 있는 정자 터. 선조 21년에 정산현감 송남수가 못을 파고 연을 심고 못안에 이 정자를 지었다고 하는 데, 현재 정자는 없어지고 못만 남았음. ▶물-안이<수촌>[마을]: 정상 남쪽에 있는 마을. 시내 안쪽이됨. ▶밤-동산[산]: 정산 남쪽에 있는 마을. 시내 안쪽이 됨. ▶백연-지(白蓮池)[못]: 동헌 터 앞에 있는 못. 선조 21년에 정 산현감 송남수가 못을 파고 연을 심었다는 설과 사계 김장생 선 생이 심었다는 설이 있으며, 만향정도 있었음. ▶법련-사(法蓮寺)[절]: 정산 서쪽, 오동산에 있는 절. ▶불당-골[골]: 서정자 서쪽에 있는 골짜기. 불당이 있었음. ▶불당-샘<옷 샘>[우물]: 불당골에 있는 샘. ▶봉소-정(鳳巢亭)[정]: 과디 서쪽, 오동산에 있는 정자. 1940년 경에 세웠음. ▶산직-말<산직리>[마을]: 물안이 있는 마을. 산지기가 살았음. ▶서경자-샘<식영자 샘>: 서경자 큰 샘으로 부른다. 큰 괴목이 있는 곳에 식영정이라고 있었는데 그 옆에 큰 샘이 있어서 그 샘 물을 식영자 샘이라 하고 이용하였음. ▶오동산[산]: 서정리 서쪽에 있는 산 ▶옥-거리(玉巨里)<녹야>[마을]: 녹얏들에 있는 마을. 정산현의 옥이 있었음. ▶옥-거리<녹얏들, 옥앞들>[들]: 옥거리 앞에 있는 들. ▶옥-터[터]: 옥거리에 있는 정산현의 옥 터. 현재 정산면의 창 고 앞 밭 120번지가 됨. ▶자오-교(子午橋)<녹야교>[다리]: 과디 앞에 있는 돌다리. 길이 5미터, 너비 6미터. 조선 숙종 30년 12월에 중수하였는데, 그 뒤 여러번 중수하였으나 또 헐어진 것을 1966년 5월에 다시 놓았으 나 현재는 소실되어 있음. 방향이 자오방, 곧 정북에서 정남으 로 놓여있었고, 녹야 뒤가 됨. ▶정산-향교[고적]: 향교말에 있는 정산현의 향교. ▶정아-루[고적]: 정산 향교에 딸린 누각. 자연석으로 된 주춧 돌 위에 2층, 5간으로 되었는데, 강학하던 곳임. 원음으루 읽을 때 정아루로 읽는다고 함. 시경동궁 삼장 章六句에서 인용된 말 이라 함. ▶피촌말<피천말, 비선말>(披村)[마을]: 백정이 살던 마을로 돌 다리에 소가죽을 널어 말렸다 함. ▶향교-말<교촌>: 정산 북서쪽에 있는 마을. 정산 향교가 있음 -청양 군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