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화성면 장계리(長鷄里) | ||||
---|---|---|---|---|---|
작성자 | 청양문화원 | 등록일 | 2004-08-25 | 조회 | 564 |
첨부 | |||||
백제때는 사시양현에 속했고 신라때는 신양현에 속했으며 고려때 는 여양현에 속했었다. 이조때는 홍주군에 속해서 이조말엽엔 여 구향면에 지역으로써 1914년 행정구역 개혁때 두적동 금계동 장 체리 입암리 산수동 취적리 산치리 홍주 사천리 세교리 대아동 각 일부를 병합하여 장체와 금계의 이름을 따서 장계리라하여 청 양군 화성면에 편입되었다. 저부리 <사천>옆에 있는 마을을 <저부리>라 부른다 광계리에서 으뜸되 는 마을인데 지형이 부리로 되어있다해서 <저부리>라 부른다. 또 한 <취적>이라고 부르는 마을이다. 잔다리 <산수골> 북쪽에 마을이 있는데 이 마을을 <잔다리>라고 부르는 마을이다 <두한천>의 냇물줄기가 흘러 내려와 곳곳에 작은 징검 다리가 놓여 있는 마을인데 <진다리> <세교>라고 부른다. <저부 리> 안쪽에 자리한 마을은 <안저부리><저부리> 바깥쪽의 마을을 <밭저부리>라 부른다. 선바우 <저부리> 북서쪽으로 높은 바위가 있는데 이 바위를 <선바위>라 고 부른다. 바위 높이가 총 50m 되는 바위 인데 이 바위 옆에있 는 마을이다. 바위 지명따라 <선바위>라고 부른다. 산수골 <저부리> 북쪽으로 마을이 있는데 이 마을이 <산수골>이라고 부 른다. 이 마을이 산수 맑은곳에 자리해 있다 해서 <산수골><산수 동>이라고 부른다 한다. 사천 <저부리> 옆으로 자리한 마을이 있는데 이 마을이 <사천> 이라 고 부르는 마을이다. 옛날엔 마을에 모래가 많아서 마을을 <사천 >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한다. 밥산 <저부리> 북쪽에 있는 산을 밥산이라고 부른다. 지금부터 약 150 년전에 홍주사람 이희돈이 이산에 부모 묘를 쓰고 당대에 간석 을 했다한다. 산에 부자가 되는 명당이 있다 해서 <밥산><식산> 이라고 부른다. 금계동 <저부리> 북서쪽에 마을이 있는데 이 마을을 <금계동> 마을에 금 계포난형의 명당이 있다 해서 <금계동>이라고 부르는 마을이다. 금닭이 알을 품고 있어서 아이를 얻은 아낙네가 천신께 정성을 드리면 그 아들이 크게 된다는 설화가 있는 마을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