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화성면 화강리(花江里) | ||||
---|---|---|---|---|---|
작성자 | 청양문화원 | 등록일 | 2004-08-25 | 조회 | 741 |
첨부 | |||||
백제때는 사시양현에 속했다. 신라때는 신양현에 속했으며 고려 때는 여양현에 속했었다. 이조때는 홍주군에 속해서 이조말엽엔 홍주군 여구향면의 지역인데 1914년 행정구역 개혁에따라 천강 리 통동 우수동 화산리 상월리 사천리 대아동과 화성면 현암리 각 일부를 병합하여 화산과 용강의 이름을 따서 화강리라 하여 청양군 화성면에 편입되었다. 굴바위 <멀미> 뒷산에 바위가 있는데 이 바위를 <굴바위>라고 부른다. 바위에 굴이있다해서 <굴바위>라 부르는 바위다. 멀미 <물펴니> 북동쪽으로 마을이 있는데 이 마을에 <멀미>라고 부른 다. 마을뒷산의 산형이 머리처럼 생겼으며 산이 꽃으로 덮이는 산이라 아름다운 절경을 이루는 마을이라 <멀미><원산><화산>이 라고 부른다. 물펴니 <멀미> 남서쪽으로 자리한 마을을 <물펴니>라고 부른다. 화강리 에서 으뜸되는 마을인데 물이 좋아서 농사 짓기에 좋은마을이 다. 항상 물이 땅속에 용이 솟게해서 물이 흔한 마을이라 <물펴 니><용강> 이라고 부른다. 통동 <물펴니> 동북쪽에있는 <대야동> 서쪽으로 지리한 마을 <통동>< 통굴>이라고 부른다. 마을 지형이 통굴처럼 생겼다해서 <통동>< 통굴>이라 부른다 한다. 우형동 <대야골>동쪽으로 마을이 있는데 이 마을을 <우형동><우영골>이 라고 부른다. 마을 지형이 소가 누운것 같다해서 <우형동><우영 골>이라고 부른다. 연실동 <통통> 앞에 산이 있는데 산을 <연실봉>이라고 부른다. 산에 연 화부수형의 명당이 있다해서 <연실봉>이라고 부르는 산이다. 섬들 <용강>아래에 있는 들을 <섬들>이라고 부른다. 들의 지형이 섬처 럼 생겼다해서 <섬들>이라고 부르는 들이다. 범바위 <용강>뒷산 기슭에 있는 바위가있는데 이 바위를 범바위라고 부 른다. 바위가 범처럼 생겼으며 옛날에는 범이 살고있는 바위였 다. 범의 모습을 닮았다해서 <범바위> 라고 부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