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메뉴 닫기
서브페이지 배경
웅천읍 구룡리(九龍里) 게시판 상세보기

[보령문화원] - 지명 내용 상세보기 입니다.

제목 웅천읍 구룡리(九龍里)
작성자 보령문화원 등록일 2002-05-27 조회 1081
첨부  
 

百濟(백제)때는 寺浦峴(사포현)에 속했었다. 新羅(신라)때는 蘇 

浦 縣(소포현)에 속했으며 高麗(고려)때는 藍浦縣(남포현)에 속
했었 다. 朝鮮(조선) 때에도 藍浦縣(남포현)에 속했으며, 朝鮮末
葉(조 선말엽)엔 藍浦郡(남포군) 熊川面(웅천면)의 地域(지역)으
로서 아 홉 龍(용)이 구슬을 다투는 九龍爭珠形(구룡쟁주형)이
라 하여 구 룡(九龍)이라 하였는데, 1914年 行政區域(행정구역)
改革(개혁)때 長佐洞(장좌동), 下九里(하구리), 花望里(화망리)
일부를 병합하여 九龍里(구룡리)라 해서 保寧郡(보령군) 熊川面
(웅천면)에 編入(편 입)되었고, `95년1월 1일 법률 제4774호로
대천시와 보령군 통합, 보령시가 된후 `95년3월 2일 보령시 조
례 제138호로 웅천면에서 웅천읍으로 승격되었다.白奎洙(백규
수) 黃稷先生(황직선생))이 사시던 곳이기도 하다.


건 너 마 을(정 굴)
花望(화망) 南(남)쪽으로 건너에 자리한 마을을 「건너마을」이
라고 부른다. 건너쪽에 있다해서 「건너마을」이라고 부른다.


花 望(화망)
長佐洞(장좌동) 北(북)쪽으로 마을이 있는데 이 마을을 花望(화
망)이라고 부른다. 「대천리」의 花落山(화락산)을 바라보는 位
置(위치)에 자리한 마을로 꽃을 바라보고 있다해서 花望(화망)
이 라고 부른다 한다.


長 佐 洞(장좌동)
花望(화망) 南(남)쪽으로 마을이 있는데 이 마을을 長佐洞(장좌
동)「장좌울」이라고 부른다. 옛날에 長者(장자)들이 살았다 해
서, 長者(장자)들이 자리한 마을 이라 長佐洞(장좌동), 「장좌
울」이라고 부른다.


되 고 개
「아래뜸」에서 「마차울」로 넘어가는 고개가 있는데 이 고개
를 「되고개」라고 부르고, 그 고개를 자리한 마을도 고개 地 名
(지명)에 따라 「되고개」라고 부른다. 九龍(구룡)의 아래쪽 이
됨으로 下九里(하구리)라고도 부르는 마을이다.


마 차 울
長佐洞(장좌동) 서북쪽으로 마을이 있는데 이 마을을 「마차
울」이라고 부른다. 또한 "마차"라고도 부른다.


큰 마 을
안마을 바깥쪽으로 자리한 마을을 큰마을이라고 부른다. 花望里
(화망리)의 원 마을이다. 오래전부터 자리해 있는 마을이다.


아 랫 뜸
長佐洞(장좌동) 아랫쪽으로 마을이 있다해서 이 마을을「아래
뜸」이라고 부른다. 長佐洞(장좌동) 아랫쪽에 자리해 있다해서
「아랫뜸」이라고 부른다.


안 마 을
큰 마을 안쪽으로 마을이 있는데 이 마을을 「안마을」이라고 부
른다. 마을 안쪽으로 자리해 있다해서 「안마을」이라고 부른
다.


굴 고 개
花望(화망)에서 藍浦面(남포면) 「원전리」로 넘어가는 고개가
「굴고개」라는 고개다. 「큰마을」위쪽에 있는 고개인데, 고개
아 래엔 또 마을이 있는데 이 마을도 고개 地名(지명)따라 「굴
고 개」라고 부른다.


盤 松 亭(반송정)
九龍里(구룡리)에 있는 소나무를 지금으로부터 180餘年(여년)전
에 白東賢(백동현)이란 사람이 아홉 살때 소나무 두그루를 심 었
는데, 이 나무가 뿌리가 되어 자라서 네그루가 되었다가 여덟 그
루가 되었다. 白氏(백씨) 30餘號(여호)가 사는 마을에 있는 여

기를 盤松亭(반송정)이라고도 부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