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주포면(周浦面) | ||||
---|---|---|---|---|---|
작성자 | 보령문화원 | 등록일 | 2002-07-08 | 조회 | 1086 |
첨부 | |||||
백제(百濟)때는 신촌현(新村縣) 사촌현(沙村縣)에 속했었다. 신 라(新羅)때는 신읍현(新邑縣)에 속해서 결성군(潔城郡)의 영현(領縣)이였으며 고려(高麗)때는 보령현(保寧縣)에 속해서 홍주 에 붙었었다. 조선(朝鮮)때에도 보령현(保寧縣)에 속했으며 이조 말엽(李朝末葉)엔 주포면(周浦面)에 속했었다. 1914년 행정구역 (行政區域) 개혁(改革)때에 원당(元堂)외 25개 동리(洞里)와 장 척면(長尺面)의 구수(九水)외 7개 동리(洞里)와 목충면(木忠面) 의 사동(砂洞) 외 13개 동리(洞里)와 오천군(鰲川郡) 천동면(川 東面)의 산수동(山水洞) 일부를 병합하여 다시 주포면(周浦面)이 라하여 고정(高亭) 송학(松鶴) 은포(隱浦) 주교(舟橋) 관산(館 山) 봉당(鳳堂) 신성(新城) 마강(馬江) 관창(寬倉) 신대(新垈) 의 10개리(個里)로 개편 관할하여 보령군(保寧郡) 주포면(周浦 面)이라 불렀었다. 그후 1962年 11월(月)에 신성리(新城里)를 보 령군청(保寧郡廳)이 있었던곳이므로 보령리(保寧里)라고 고쳤 다. `95년1월 1일 법률 제4774호로 대천시와 보령군 통합, 보령 시로 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