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메뉴 닫기
서브페이지 배경
주포면 보령리(保寧里) 게시판 상세보기

[보령문화원] - 지명 내용 상세보기 입니다.

제목 주포면 보령리(保寧里)
작성자 보령문화원 등록일 2002-07-08 조회 1496
첨부  
 

백제(百濟)때는 신촌현(新村縣)에 속했었다. 신라(新羅)때는 신 

읍현(新邑縣)에 속했으며 고려(高麗)때는 보령현(保寧縣)에 속했
었다. 이조말엽(李朝末葉)엔 보령군(保寧郡) 주포면(周浦面)의
지역(地域)으로서 보령군청(保寧郡廳)이 있었으므로 읍내(邑內)
라 하였는데 1914年 행정구역(行政區域) 개혁(改革)때 원당리(原
堂里) 사청리(射廳里)의 각(各) 一部와 장척면(長尺面)의 상리
(上里) 하리(下里)의 각(各) 일부를 병합하여 보령군(保寧郡)의
옛이름 신성(新城)을 따라 신성리(新城里)라 하였다가 1962年 11
월(月)에 보령리(保寧里)로 고쳤다. 옛날에 보령군청(保寧郡廳)
이 있었는데 1914年에 대천(大川)으로 옮겨갔고 현재는 周浦面
(주포면) 所在地(소재지)로 되어있다.`95년1월 1일 법률 제4774
호로 대천시와 보령군 통합, 보령시 주포면이 되었다.


鄕校(향교)말
「성재」동남(東南)쪽에 자리한 마을을「향교말」이라고 부른
다. 보령향교(保寧鄕校)가 있는 마을이라「향교말」이라고 부른
다. 또한 향교촌(鄕校村)이라고도 부르며 마을 뒷산은 향교산(鄕
校山)이라고 부른다.


진당산
보령리, 마강리와 청라면계에 있는 옛보령현의 진산이고 옛성터
와 봉화대터가 있으며 한말의 현관으로 국치를 당하자 홍성, 경
성등지에서 일의병장으로 국전회복에 전력하다 권상으로 순국하
신 직각 김상덕선생과 증숙부인 서씨, 중숙부인 송씨, 숙부인 이
씨, 측실이신 여류명사 한운여사묘가 있다. 진당산록에는 진당초
라고 하는 난과식물이 자생하고 있다.


海山縷(해산루)
「성재」북쪽에 자리한 누각(樓閣)을 해산루(海山縷)라고 부른
다. 또한 성(城)의 남쪽에 있어서 남문(南門)이라고도 한다. 보
령성(保寧城)의 정문(正門)으로 건립된 누각인데 팔작(八作)지붕
에 정면(正面) 세칸(三問) 측면(側面) 두칸(二問)의 누각이다.
이씨조선(李氏朝鮮) 인조(仁祖) 60年경(1610)에 창건하였다. 현
판(懸板)은 이곳 출신인 영의정(領議政) 이산해(李山海)가 썼
다.


배치산(湃峙山)
「성재」남(南)쪽으로 산이 있는데 이산을 「배치산」이라고 부
른다. 옛날에는 이산 아래까지 바다가되어서 배를 매었다 하여
「배치산」이라 부른다.


질 재
보령리(保寧里)에서 청라면(靑羅面) 장산리(長山里)로 넘어가는
고개를 「질재」라고 부른다. 고개가 긴 고개인데 옛날 싸움이
있을 때 군사들이 진을 쳤다해서 「진재」라고 불렀다 한다. 또
한 일설로는 고개가 긴 재라 「긴재」라 부르다가 「질재」라 변
하여 부른다. 이 재의 이름을 따서 조선(朝鮮)때는 장척면(長尺
面)이였다가 1914년에 주포면(周浦面)에 편입되었다.


保寧里(보령리)
보령리(保寧里)를 옛날에는 신성리(新城里)라고 불렀었다. 조선
(朝鮮)때에 성(城)을 새로 쌓았다 해서 신성리(新城里)라 불렀었
다.


塔 山(탑산)
상리(上里) 동(東)쪽 진당산(鎭唐山)아래에 자리한 산을 탑산(塔
山)이라고 부른다. 산에 석탑(石塔)이 있었다 해서 탑산(塔山)이
라고 부른다. 현재 이탑은 보령중학교 교정에 옮겨 세워져 있
다.


중 리
보령리(保寧里)에서 중심에 자리한 마을을 중리(中里)라고 부른
다.


장승배기
중리(中里)북쪽으로 자리한 길을 「장승배기」라고 부른다. 길옆
에 장승이 박혀있다 해서 「장승배기」라고 부르는데 팽나무 정
자가 있는 길이다.


성 재
「향교말」서북(西北)쪽으로 마을이 있는데 이 마을을「성재」라
고 부른다. 옛날부터 보령읍성(保寧邑城)이 있었던 곳이라「성
재」라고 부른다.


삼시랑당굴
「질재」아래 북(北)쪽으로 골짜기가 있는데 이 골짜기를 「삼시
랑당굴」이라고 부른다. 삼신을 위하는 신당(神堂)이 있었던 골
짜기라 「삼시랑당굴」이라고 부른다.


보령향교나무
보령향교(保寧鄕校)에 회화나무가 있는데 이 나무를 「향교나
무」라고 부른다. 나무 둘레가 다섯아름되는 나무로서 수령이
300년이 넘는 나무다.


東軒(동헌)터
「성재」북(北)쪽에 보령현(保寧縣)의 동헌(東軒)이 있었던 터
가 있다. 현재 보령중학교(保寧中學校)자리가 옛 동헌(東軒)이
있던곳이다.

客舍(객사)터
「성재」중앙에 옛날 보령현(保寧縣)의 객사(客舍)터가 있다. 지
금 周浦國民學校(주포국민학교)가 서있는 자리가 옛 객사(客舍)
가 있었던 자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