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메뉴 닫기
서브페이지 배경

목은이색영정

목은이색영정

소개

지 정 : 보물 제 1215호
문화재명 : 이색영정 (李穡影幀)
분류 : 초상화
수량 : 3폭
지정일 : 1995.03.10
소재지 : 서천군 기산면 영모리 463
시대 : 영조31년(1755)
소유자 : 목은영당한산이씨대종회
관리자 : 목은영당한산이씨대종회

내용

여말삼은<麗末三隱> 가운데 1인이었던 목은<牧隱> 이색<李穡> 

(1328~1396)의 영정<影幀> 허목<許穆>의 "목은화상기<牧隱畵像記 
>"에 의하면, 원래 관복과 평상복의 초상화 2본<本>이 있었는데 
원본은 전하지 않고 동형동규<同形同規>의 초상화가 서천 영모영 
당<永慕影堂>과 예산 문정공영당<文靖公影堂>(누산영당<樓山影堂 
>)에 모셔왔다고 한다. 
그러나 오랜기간 보관과정에서 초<초>가 떨어져 나가는 등 훼손 
이 심해 효종<孝宗> 5년<年>(1654) 후손들이 2본<本>을 모사하 
여 영당에 봉안하였다고 하는데 예산<禮山> 누산영당소장본<樓山 
影堂所藏本>은 1654년 사대부화가였던 허의<許懿>(1601~?)와 유 
명한 화사<畵士> 김명국<金明國>이 그렸다고 전해지며 사모<紗帽 
>를 쓴 우안구분면<右顔九分面>의 자세에 여말선초<麗末鮮初>의 
공신도상형식<功臣圖像形式>을 보여주고 있다. 
현재 목은영당소장<牧隱影堂所藏>의 소본<小本>은 비록 사방이 
잘려나가 본래의 형태가 분명하지 않은 반신상<半身像>이지만 필 
세<筆勢>에 골격<骨格>이 감지되고 안면처리<顔面處理> 역시 섬 
세하여 누산영당본<樓山影堂本>과 같은시기에 그려진 것으로 여 
겨지며 전체적으로 고격<古格>을 견지하고 있다. 
대본<大本>은 누산영당본<樓山影堂本> 동형동규<同形同規>의 것 
으로 화폭<畵幅> 우측상단<右側上端>에 추근<椎近>의 찬문<讚文> 
이 적혀 있는데 1526년 김희수<金希壽>(1475~1527)가 제기<題記> 
를 썼던 영정을 1711년에 다시 개형<改模>하여 임강서원<臨江書 
院>에 봉안<奉安>하였던 것으로 보여지며 고식<古式>을 충분히 
따르되 약간씩 내비치는 선양기<渲梁氣>가 이 초상화의 이모년대 
<移模年代>를 말해준다. 
영모영당<永慕影堂>의 영정<影幀> 역시 동일<同一>한 상용형식< 
相容形式>인데 화폭 우측상단에 권근<權近>의 목은선생화상찬<牧 
隱先生畵像讚>과 제기<題記>가 적혀있어 이 초상화가 1755년에 
제작된 것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 본<本>은 목은영당본<牧隱 
影堂本>에 비해 수염처리나 창의<창衣>의 묘사 등 표현 기법면에 
서 뒤떨어지고 있는데 이는 이는 이모<移模>을 거듭한 이유 외 
에 화사<畵師>의 기량이 못미친 때문으로 보인다. 
대전영당본<大田影堂本>은 화기<畵記>에 의해 조선 헌종 10년 
(1844)에 이모한 것임을 알 수 있는데 예산 누산영당본과 동형동 
규<同形同規>의 본<本>으로 서대<犀帶> 및 족좌대<足座臺> 위의 
문양표현이나 연폭<聯幅>을 사용하지 않은 점에서만 차이를 보 
일 뿐 양식적으로 고식을 띠고 있으며 공교한 솜씨를 보여주고 
있어 뛰어난 화사에 의해 이모 되었음을 시사해준다. 
이상에서와 같이 이색영정은 재세시<在世時>의 본<本>은 전하지 
않지만 조선중기<朝鮮中期> 일류화가의 솜씨가 노정<露呈>된 원 
본<原本>에 충실한 반신상<半身像>과 전신상<全身像> 역시 여말 
선초<麗末鮮初>의 초상화 양식을 갖추고 있고 연대<年代>가 올라 
가는 원본에는 거듭 중모<重模>한 것으로 3본<本> 모두 작품의 
수준이 높고 비교적 보존상태도 양호하며 피사인물<被寫人物>이 
역사적으로 중요한 인물이므로 회화사연구<繪畵史硏究>에 귀중 

한 자료<資料>로 평가<評價>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