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메뉴 닫기
서브페이지 배경
당진지역 청소년 진로교육 프로그램 ‘Dream Bridge ’ 8월 30일 개최 글의 상세내용

『 당진지역 청소년 진로교육 프로그램 ‘Dream Bridge ’ 8월 30일 개최 』글의 상세내용을 확인하는 표로 제목, 작성자, 등록일, 조회, 첨부, 내용으로 나뉘어 설명합니다.

제목 당진지역 청소년 진로교육 프로그램 ‘Dream Bridge ’ 8월 30일 개최
작성자 당진문화원 등록일 2014-08-29 조회 937
첨부  

 

Dream Bridge

당진지역 청소년 진로교육 프로그램
 

 

 

당진지역 청소년 진로교육 프로그램 ‘Dream Bridge ’

 

1) 개요 – 당진 지역의 청소년이 유망 직업군 롤모델과의 만남을 통해 구체적 VISION을 품고 학습 의욕을 고취하도록 돕는다.

2) 행사 대상 : 당진 관내 중․고생 80명 +부모 40명

3) 행사 장소 : 당진문화원

4) 시 간 : 8월 30일(土) 오후 2시

 
 

□ 당진지역 청소년 위한 ‘실효적절’한 학습동기프로그램 필요

➡ 진로교육 중요성 고조, 청소년 관심 증가

➡ 당진 청소년의 현실, 중소지방 도시 - 진지한 진로 탐색 기회 부족

 

□ ‘당진 드림(Drim)’과 ‘사단법인 Happy up 사회복지회’는 장기 교육 프로그램 기획

➡ Dream Bridge, 해당 직무를 직접 경험하는 체험형 진로 학습동기 프로그램

➡ 한-미 학생 교류 프로그램, 외부 전입 2030여성 프로그램 내년 중 실행

 

□ Dream Bridge 사업 시작, 8월 30일 당진 문화원

➡ 본격적 ‘직접 체험형 프로그램’의 선행 단계

➡ 간접 체험 ‘롤모델과 만남’, Vision을 품고 학습의욕 고취
 

 

 

 

 

1. 행사 진행

 

⑴ 주최 : 사단법인 Happy up 사회복지회

⑵ 주관 : 당진 드림

⑶ 시행 : 아우라 커뮤니케이션

⑷ 대상: 당진 관내 중‧고생 80명 + 부모 40명

⑸ 장소 : 당진문화원

⑹ 일시 : 2014.08.30 14:00

 

 

 

2. 행사 시간

 


00:00 ~ 00:00
 
행사시작

김동완의원 / 김홍장시장 축사
 

 
 
청소년 강의
 
 
 
부모 강의
 

00:00 ~ 00:00
 
원대희 PD 강의 (질의응답 포함)
 
14:30 ~ 16:00
 
‘나의 자녀 비전 키우기’

『청소년의 올바른 비전 고취를 위한 부모인식 변화』
 

00:00 ~ 00:00
 
한영미 작가
 

00:00 ~ 00:00
 
김학수 감독
 
 
 

00:00 ~ 00:00
 
이홍래 음악감독
 

 

 

 

3. 강의 내용 및 강사 소개

 

⑴ 부모 강의

 

① 강사 : 곽태옥 대표

- 이야기로 여는 생명수학 대표, 부모교육 강사

② 내용 : 청소년의 올바른 비전 고취를 위한 부모 인식 변화

➂ 강의 목표 : 부모 인식전환

 

(2) 청소년 강의

 

① 원대희 PD

- 당진 출신, 토요일이좋다, 우리아이가 달라졌어요, 정글의법칙W 외 SBS 다수 예능프로 그램

- 내용 : 방송제작과 프로듀서의 역할 및 환경 소개

 

② 한영미 작가

- 다수 영화, 드라마, 연극 및 소설, 대중음악 작사가로 활동

- 내용

• 작가의 비즈니스 및 실제 환경 소개

• 문화 컨텐츠 종사자의 자기개발 노력의 중요성

• 창의성을 기르는 교육 및 실전연습

• 직업의 다양성 및 청소년 희망 직종에 관한 문제점 소개

➂ 김학수 감독

- 내머리속 지우개, 소년천국으로 가다, 청춘만화 외 다수 영화와 다수 M/V, CF 제작

- 내용

• 촬영 감독의 비즈니스 및 실제 환경 소개

• 현재 주변 측근의 촬영파트 해외진출 현황

• ‘연예인(스타)가 되고 싶은가? 아니면 컨텐츠를 생산하고 싶은가?’

 

➃ 이홍래 음악감독

- 다수 영화 OST와 조용필 등 가수 공연 세션, 작․편곡

- 現 수원여대 대중음악과 출강 (2002~ ), SM 엔터테인먼트 강타 Band “장혜진”밴드 Ten Entertainment Director, 뮤지컬“Soap opera” 상임 작곡가

- 내용

• 음악감독의 비즈니스 및 실제 환경 소개

• 영어(어학)의 중요성 강조

• 국내외 문화의 흐름(대중의 트랜드) 파악의 중요성

• 현장에서의 문화인맥 구축 중요성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