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남오성 묘 출토복식 발간 | ||||
---|---|---|---|---|---|
작성자 | 태안문화원 | 등록일 | 2005-01-27 | 조회 | 1856 |
첨부 |
![]() |
||||
국립민속박물관(관장 김홍남)은 2002년 충청남도 태안의 의령 남씨 묘역에 서 이장 과정 중 발견되어 기증된 삼도통제사를 지낸 남오성 장군(1643∼ 1712) 묘 출토복식에 대해, 2년간의 보존처리 및 유물의 조사·연구를 실 시하여 정리한 국립민속박물관 유물보존 총서 Ⅰ 『남오성 묘 출토복식』 을 발간했다.
『남오성 묘 출토복식』보고서는 유물의 수습, 남오성의 생애, 보존처리, 복식사, 직물사에 대한 논고와 개개 복식 유물에 대한 실측도로 구성되어 있는데, 출토된 복식은 조선시대 복식 연구의 중요한 기초 자료가 될 것이 다.
300년 전 조선시대 삼도통제사 남오성 장군 무덤에서 미라와 복식 유물 출 토
2002년 10월 10일 남오성 장군 무덤은 이장 당시 미라가 발견되어 藼년 된 미라 발굴"이라는 제목으로 세간의 관심을 끌었던 바 있다. 당시 미라와 함께 관 내에서 원형 그대로 발견된 복식류(단령 3건, 대창 의 4건, 중치막 8건, 소창의 15건, 저고리 1건, 바지 3건, 대 1건, 관내 배접용 직물 1건, 염포 1건, 지요 1건, 천금 1건, 이불 2건, 베개 1건, 낭 1건, 악수 1건, 멱목 1건, 망건 1건, 사모 1건, 화 1건 등 50건)와 목 관 1건, 칠성판 1건, 석물들(비석 1건, 상석 1건, 고석 2건, 향로석 1건, 망주석 2건, 문인석 2건, 남백하 지석 1건)는 조선시대 사대부 복식 연구 의 중요한 자료로써 국립민속박물관에 기증됐다. 기증 당시 복식 유물은 젖은 상태로 대부분 형태를 잘 유지하고 있었으나 색상은 갈색으로 변색 된 상태였다.
조선시대 18세기 사대부 복식의 풍부한 자료 제공
남오성 묘의 출토복식은 재질적인 면에서 염포를 제외하면 모두 견으로 면 과 마가 없는 것이 특징이다. 시기상 조선후기 복식의 일반적인 특성을 잘 보여주고 있으며, 특히 유물 중에는 단령, 대창의, 중치막, 소창의와 같은 포류가 다량 출토된 것이 특징이며, 조선후기 포의 변화, 종류의 다 양화 및 발달의 요인을 살펴보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 복식에 사용된 직물은 평견직물이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하고 있으며 주 (紬), 세주(細紬), 추사로 이루어져 있으며, 다른 출토복식의 직물보다 고 운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문양이 시문된 직물이 많으며, 연화만초문, 석 류화문, 포도다람쥐문, 운·보문, 단위문(석류, 석류꽃, 모란, 장미, 하 화, 난초, 매화, 불수감, 새, 나비, 기하문) 등이 사용되어 풍부한 문양 자료를 보여주고 있다.
유물의 내적 상태를 고려한 2년간의 보존처리 거쳐
2년간 복식류 유물을 보존처리하면서, 회곽묘라는 묘제와 복식류 유물의 보존이라는 상관관계를 유추할 수 있는 학술적인 단서를 발견하였다. 그리 고 물리적으로 매우 약화된 유물의 손상 상태나 오염물질을 과학적으로 분 석함으로써, 유물의 물리·화학적인 성질에 무해한 세척 방법을 고안하였 으며, 유물과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물리적인 성질을 제어한 바느질 재료 를 국내 최초로 개발하여 보존처리에 사용하였다. 또 유물의 파손상태와 형태에 따른 보존 바느질법의 선택, 유물의 형태에 따른 보관방법의 적 용, 장기간 보관 또는 전시에 따른 온·습도 변화 및 취급 시 유물에 가해 질 수 있는 외력에 의한 손상 등 보존처리 전 과정에서 일어날 수 있는 유 물 손상의 최소화를 기하였다.
이 보고서는 섬유류 유물의 보존에 종사하는 분들이나 조선시대 복식을 연 구하는 여러 연구자들을 위한 기초적인 정보를 담고자 하였으며, 출토복 식 연구나 섬유 보존에 생생하고 유익한 자료가 될 것을 기대한다. 앞으로 도 국립민속박물관에서는 유물보존과 관련된 『국립민속박물관 유물보존 총서』를 지속적으로 출간할 예정이다
출처(문화관광부 알림마당) http://www.mct.go.kr/korea/office/notify/notify_view.jsp? menu=121&viewFlag=read&oid=@32319|1|1 * 관련사진자료:태안문화원 홈페이지-영상자료실-이미지자료 19번에 있습 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