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메뉴 닫기
서브페이지 배경
중앙대제 글의 상세내용

『 중앙대제 』글의 상세내용을 확인하는 표로 제목, 작성자, 등록일, 조회, 첨부, 내용으로 나뉘어 설명합니다.

제목 중앙대제
작성자 태안문화원 등록일 2005-02-22 조회 1250
첨부  

사업명 : 중앙대제 

: 태안읍이장단연합회(대표 조정남

: 태안문화원, 태안군 

일시ㆍ장소 : 2005. 2. 22() 19:00, 경이정 

: 天尊地神中央大將軍 神位 

檀君紀元四千參百參拾八年歲次乙酉 正月甲子朔拾四日丁丑 

泰安郡守 陳泰龜 敢昭告于 

天尊地神中央大將軍神位前 

國泰民安 時和年豊 子孫榮貴 和合發展 管內七萬人口 患亂救濟 疾病退治  

過太平 謹以淸酌 庶羞薦 伏願伏祝 奠獻 尙饗 

 

중앙대제는 태안군 고유 제향의 하나로 음력정월 14 저녁에 거행되는 

제향이다. 중앙대제의 기원은 도교의 제향인 태일제에서 비롯되었으며  

월보름날 새벽에 백화산의 정상에 있었던 태일전에서 지내고 있었으나  

일전의 혁파로 인하여 중단되기에 이르렀다. “태일제라는 제향이 없어 

지게 되자 불안하게 생각하였던 군민들은 지역사회의 안정과 군민들의  

안을 염원하는 제향이 필요하게되었고 이로인하여 태일제를 대신할  

제향을 경이정에서 태안군수의 초헌으로 정월 보름날 새벽에 지내게  

었다

아울러 이제향은 소를 통으로 잡아 제사를 지냈다고하여 재우제라고도 

하였는데 이것도 태안의 폐군으로 인하여 중지되기에 이르렀다. 그러던  

태안의 안녕과 평안을 염려하는 유지들이 성금을 모아 재우제를 대신할 

있는 제향을 경이정에서 태안읍장을 초헌으로하여 제향을 지내게 되었 

으나 이것역시 얼마 안되어 중단되게에 이르렀다. 그러던 것을 태안읍  

재지의 이장들이 뜻을모아 경이정에서 다시 제향을 시작하게 되었으니  

것이 오늘날까지 이어지게된 중앙대제의 시작이다. 그러기 때문에 중앙대 

제의 근원은 경이제인 재우제의 연속이며 거슬러 올라가면 태일제로  

결된다는 것이며 태안군이 복군된 오늘날에는 초헌관도 태안읍장이 아닌 

태안군수가 초헌을 하게 것이다

 

: 초헌관 - 태안군수(진태구

아헌관 - 태안군의회의장(가기순

종헌관 - 태안문화원장(정우영

- 동문2리장(최상엽

- 동문6리장(방원창

- 남문3리장(오병익), 동문4리장(조한승)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