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노성면(魯城面)의 역사지리적(歷史地理的) 개요(槪要) | ||||
---|---|---|---|---|---|
작성자 | 논산문화원 | 등록일 | 2002-05-08 | 조회 | 1077 |
첨부 |
![]() |
||||
노성면은 논산군의 북부에 위치하며 동부는 상월면(上月面)과
공주군 계룡면(鷄龍面), 서부는 부여군 초촌면(草村面)과 공주 군 탄천면(灘川面), 남부는 광석면(光石面), 북부는 공주군 계룡 면(鷄龍面)과 탄천면(灘川面)에 접하고 있다. 동으로는 계룡산(鷄龍山)이 막아섰고 남쪽으로는 논산평야(論山 平野)가 있어 계룡산지에서 발원하는 금강지류(錦江支流)들이 노 성천(魯城川)을 거쳐 논산천에 합류하여 논산 곡창지대의 젖줄 을 형성하고 있다. 특히 노성은 역사적으로 충청도의 큰 고을이었으며 호남지방에 서 한양을 가려면 거쳐가야 했던 삼남대로(三南大路)의 정거장 (停車場) 역할도 담당했다. 또한 조선시대의 통신망(通信網)이엇던 봉수대(烽燧臺)가 노성 산(魯城山 :尼山)에 있어 서울에서 전남 순천으로 연결하는 통신 의 역할을 하였다. 이산 봉화(尼山 烽火)는 북측으로는 공주군 의 월성산(月城山)에 응(應)하였고, 남으로는 은진의 황화산(皇 華山), 강경산(江景山) 봉수(烽燧)에 응하였다. 노성은 노성현(魯城縣)의 지역으로 조선시대에 많은 유학자(儒 學者)들이 배출되었고, 향교(鄕校)와 궐리사(闕里祠)도 있어 선 비의 고장으로 알려져 있다. *참고-論山地域의 地名由來(1994년12월25일,논산문화원 발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