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성동면(城東面)의 건치연혁(建置沿革) | ||||
---|---|---|---|---|---|
작성자 | 논산문화원 | 등록일 | 2002-05-08 | 조회 | 1249 |
첨부 |
![]() |
||||
본래 석성군(石城郡), 원북면(院北面)의 지역으로 하동(下洞),
하서(下西), 중리(重里), 소죽(小竹), 부산(缶山), 장상(壯上), 양상(陽上), 갈산(葛山), 음상(陰上), 도리(島里), 동상(東上), 서상(西上), 송촌(松村)의 13개 리를 관할하다가, 1914년 행정구 역 폐합에 따가 병촌면(甁村面)의 불암(佛岩), 개척(盖尺), 원당 (元當), 소중(小中), 원궁(元宮), 대중(大中)의 6개 리와 삼산면 (三山面)의 대장(大長), 소하(小下), 대하(大下), 오산(五山), 상리(上里), 중리(中里), 화정(花亭)의 7개리와 정산면(定山面) 의 하리(下里), 중리(中里), 화정(花亭), 야동(冶東)의 4개리와 우곤면(牛昆面)의 서원당(書院堂), 상리(上里), 월외(月外), 포 전(浦田)의 4개리와 현내면(縣內面)의 창리(倉里), 남산(南山) 의 2개리와 비당면(碑堂面)의 옥산리(玉山里)와 성본면(城本面) 의 해창리(海倉里)와 노성군(魯城郡) 광석면(光石面)의 입석(立 石), 논산(論山), 갈산(葛山), 구토(舊土)의 4개리와 임천군(林 川郡) 인세면(仁世面)의 중산리(中山里)를 병합하여 금성산(錦城 山) 동쪽에 있으므로 성동면(城東面)이라 하여 논산군에 편입되 어 개척(蓋尺), 병촌(甁村), 삼산(三山), 삼호(三湖), 우곤(牛 昆), 원남(院南), 원북(院北), 원봉(圓峰), 월성(月城), 정지(定 止), 화정(花亭)의 11개리를 관할하다가 1932년 논산천 제방을 수축함에 의하여 채운면(彩雲面)의 신촌리(新村里)를 성동면에 편입하였고 1966년1월1일 18개리로 면정을 수행하다가 1968년1월 1일 행정구역을 31개 부락으로 조정하였으며, 1988년2월17일 정 지 4리와 월성3리가 형성되고 삼호리를 단일리로 재 조정하여 성 동면은 현재 법정리 11, 행정리 31, 자연부락 76, 136개반으로 편성 오늘에 이르고 있다. 총면적은 34.66㎢이며 그 중 면적이 22.55㎢이고 과수 2.13㎢, 임야4.65㎢, 기타 5.33㎢이다. 인구는 2,430세대에 남자 4,483 명, 여자 4,365명으로 총 8,848명의 주민이 거주하고 있다. (1993.12.31 현재) *참고-論山地域의 地名由來(1994년12월25일,논산문화원 발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