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홈으로
사이트맵
청양 문화원
주메뉴영역
문화원에 오신걸 환영합니다.
소개마당
인사말
연혁
조직 및 업무
시설현황
오시는 길
문화소식
문화소식
축제소식
청양의 문화
문화학교
문화학교
자료마당
문화원 자료실
사진 자료실
영상 자료실
참여마당
회원가입
공지사항
보도자료
사이버향토사료관
소개
발행도서현황
사이버향토사료관
메뉴보기
모바일용 메뉴
청양문화원
도내문화원 바로가기
공주문화원
금산문화원
논산문화원
당진문화원
보령문화원
부여문화원
서산문화원
서천문화원
예산문화원
온양문화원
천안시동남구문화원
천안시서북구문화원
청양문화원
태안문화원
홍성문화원
사이트맵
소개마당
인사말
연혁
조직 및 업무
시설현황
오시는 길
문화소식
문화소식
축제소식
청양의 문화
문화축제
문화재
역사
인물
민속
지명
문화학교
문화학교
자료마당
문화원 자료실
사진 자료실
영상 자료실
참여마당
회원가입
공지사항
보도자료
사이버향토사료관
소개
발행도서현황
사이버향토사료관
모바일메뉴 닫기
서브페이지 배경
홈페이지가이드
문화소식
지명
홈
문화소식
청양의 문화
지명
페이스북
트위터
인쇄
총게시물 :
240
/
페이지 :
13/24
게시물검색
검색조건
제목
글내용
작성자
청양읍 읍내리(邑內里)
본래 청양군의 읍내가 되므로 읍내면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장대리, 안적동, 은천동의 각 일부를 병합하 여 읍내리라 함. ▶고리섬-들환도, 고리도평, 고리평[들] 읍내 남쪽에 있는 큰 들. 고리...
작성자 :
청양문화원
조회 :
615
2003.03.19
청양읍 송방리(松防里)
본래 청양군 읍내면의 지역으로서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안적동, 송애리의 각 일부와 남상면의 방축리의 일부를 병합하 여 송애와 방축의 이름을 따서 송방리라 함. ▶방죽골방축동[마을] 송방리에서 가장 큰 마을 ...
작성자 :
청양문화원
조회 :
609
2003.03.18
청양읍 벽천리(碧泉里)
본래 청양군 읍내면의 지역으로서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벽정리, 영천동 잉부와 남상면의 신대리, 입동, 상적리의 각 일 부를 병합하여 벽정과 영천의 이름을 따서 벽천리라 함 ▶대방-굴[골] 벽천리에 있는 골짜...
작성자 :
청양문화원
조회 :
571
2003.03.13
청양읍 백천리(栢川里)
본래 청양군 읍내면의 지역으로서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사점리, 퇴천리, 백산리를 병합하여 백산과 퇴천의 이름을 따 서 백천리라 함 ▶등산정잇-들〔들] 등산정잇보를 이용하여 농사르 짓는 들 ▶등선정잇-보〔보...
작성자 :
청양문화원
조회 :
601
2003.03.13
청양읍 군량리(軍粮里)
본래 청양군 남상면의 지역으로서 통일신라시대의 십정(十停)중에 하나인 고량부리정(古良夫里停)(근방의 여러 城(성)을 통괄 한 총지휘본부이었던 것으로 추정됨)이 있었으며 조선조 때 고량 창고가 있었으므로 군량골 또는 ...
작성자 :
청양문화원
조회 :
573
2003.03.13
청양읍 교월리(校月里)
본래 청양군 읍내면으 지역으로서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교촌리, 월촌리, 장대리 일부를 병합하여 교촌과 월촌으 이름 을 따서 교월리라 해서 청양군 읍내면에 편입됨. ▶마전터(조련터)〔마을] 평촌 앞에 읍내리...
작성자 :
청양문화원
조회 :
589
2003.03.12
청양읍(靑陽邑)
청양군 1읍 9면의 하나 본래 청양군의 땅으로서 청양군청이 있으므로 읍내면이라 하여 사점, 퇴천, 백산, 교촌, 월촌, 장대,읍내, 안적, 온천, 벽정, 송애의 11개 동리를 관할 하였는데1914년 군면 폐합에 따라...
작성자 :
청양문화원
조회 :
588
2003.03.12
청남면 청소리 ▶냇말 외 3
백제때 열기현에 속했고 신라때는 열성현에 속했으며 고려때는정산현에 속했었다. 이조초엽엔 정산현에 속했으며 이조말엽엔정산군 청면의 지역으로서 맑는 소(沼가 있으므로 청소골이 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때 薪田...
작성자 :
청양문화원
조회 :
584
2003.03.12
청남면
백제때는 열기현에 속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으나 백제때 청남담노군이 자리하였던 지역으로 백제의 왕족이 다스리던 고장이다. 사비성의 외곽지로 또한 산수가 절경을 이루는 곳이 많아 백제때부터 크게 마을이 자리하기 시작한 ...
작성자 :
청양문화원
조회 :
563
2003.02.26
목면 대평리 ▶ 가야산 외 5
마한때부터 부락형성은 있었으나 부락국가 형성은 없었던 지역이다. 백제때는 열기현(悅己縣)에 속했고 신라때는 열성현(悅城縣) 에 고려때와 이조때는 정산현(定山縣)에 속했었다. 이조말엽엔정산군에 속해서 목면 지역으로서 ...
작성자 :
청양문화원
조회 :
550
2003.02.26
««
«
11
12
13
14
15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