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메뉴 닫기
서브페이지 배경
황산리(黃山里) 게시판 상세보기

[논산문화원] - 지명 내용 상세보기 입니다.

제목 황산리(黃山里)
작성자 논산문화원 등록일 2002-05-09 조회 873
첨부  
 
전북 여산군의 지역이었는데 황산(黃山)과 황산포(黃山浦)가 있
으므로 황산이라 하였는데 1895년(고종32년)에 은진군 김포면에
편입되었고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왜식 이름으로 황금정
(黃金町)이라 하여 강경면에 편입되었다가 1931년 강경면이 읍으
로 승격됨에 따라 강경읍에 소속되었다가 1947년 왜식 동명 변경
에 의하여 황산동이라 하였다. 1988년8월1일 동을 리로 고쳐 황
산리라 부르게 되었다.

행정구역은 황산1, 2, 3리로 되어 있으며, 인구는 732세대에
2,546명의 주민이 거주하고 있다.(1993.12.31현재) 자연부락은
황산이 있다.

▶자연부락 및 지명유래

몽괘벽(蒙卦壁)[바위] : 팔괘정에 있는 바위벽으로 꿈에 정자가
바위벽에 걸렸다하여 몽괘벽이라 한다고 한다.
배목다리[다리] : 중앙리 천주교 옆에 있던 다리로 크기가 배폭
만 하고 항시 물위에 떠있던 다리로 배목다리 또는 배폭다리라
부른다.
배다리[다리] : 황산 나루에 있던 배로 놓았던 다리로 강경에서
부여군 임천으로 통하였다.
배폭다리[다리] : 배목다리라고도 하며 중앙리 천주교 옆에 있
던 다리이다.
불암다리[다리] : 강경 부여간을 잇는 다리로 성동면의 불암사
가 폐산된 후 불암사의 돌과 불상들을 주춧돌로 하여 다리를 놓
았다해서 불암다리라 부른다.
사주거리다리[다리] : 사죽교라고도 한다.
사죽교(四竹橋)[다리] : 사주거리 다리라고도 하며 옛날 대나무
네 개를 엮어 다리를 놓았다고 하며 신식다리를 놓고 상강경교
라 하였다.
삼계리(三桂里)[마을] : 팔괘정 주위에 있었던 마을이다.
일감당[못] : 팔괘정 주위 삼계리에 있었던 연못이다.
임이정(臨履亭)[고적] : 죽림서원 위쪽에 있는 정자로 인조4년
(1626년)에 사계 김장생이 지었다.
주교(舟橋)[다리] : 배다리라고도 하며 황산 나루터에 배로 놓았
던 다리이다.
죽림서원(竹林書院)[고적] : 황산 남쪽에 있는 서원으로 인조4년
(1626년0에 창건 되었다.
청초암(靑草岩)[바위] : 팔괘정 북쪽 바위벽을 푸른 풀언덕이라
하여 청초암이라 부른다.
팔괘정(八卦亭)[고적] : 죽림서원 앞쪽에 있는 정자로 인조때 우
암 송시열이 건립하였다.
황산(黃山)[마을] : 황산 아래에 있는 마을로 황산리라고도 한
다.
황산(黃山)[산] : 강경 서쪽에 있는 산으로 산밑 동서남북에 마
을이 있다.
황산교(黃山橋)[다리] : 황산 남동쪽에 있는 다리로 1957년에 놓
았다.
황산나루[나루] : 황산 밑에 있는 금강 나루터이다.
황산대교(黃山大橋)[다리] : 강경에서 부여군 세도면으로 통하
는 다리로 길이 1,050m이며 연속 압축공법으로 시고 1987년6월23
일 준공되었다.
황산서원(黃山書院)[고적] : 죽림서원의 본래의 명칭이다.
황산정(黃山亭)[고적] : 임이정의 본래 명칭이다.
황산포(黃山浦)[나루] : 황산나루라고도 하며 황산 밑에 있는
금강나루이다.

▶황산(黃山)

강경읍 황산리에 황산이 있다. 그리 높지도 않고 아담한 형태이
며 그 아래 유유히 흐르는 금강과 강 건너 펼쳐진 논강평야가 있
어 장부의 호연지기를 함양할 수 있는 승지라 할 수 있다.
산 위에는 임이정과 팔괘정이 있으며 중간에 죽림서원이 있어
시인묵객이라면 한번쯤 올라 가봄직한 곳이기도 하다.

▶황산대교(黃山大橋)

강경 황산대교는 1987년6월23일 준공되었다. 길이 1,050m이고,
전체 노폭 12m, 차도폭 8.5m인 황산대교는 1984년3월6일 착공 연
속 압축공법으로 시공하여 이음매가 없이 연속교로 시공한 교량
이다.
강경 황산대교는 부여군 세도면을 거쳐 강경을 경유 호남고속도
로로 직결되는 중요 교통로이다.

*참고-論山地域의 地名由來(1994년12월25일,논산문화원 발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