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메뉴 닫기
서브페이지 배경
산동리(山東里) 게시판 상세보기

[논산문화원] - 지명 내용 상세보기 입니다.

제목 산동리(山東里)
작성자 논산문화원 등록일 2002-05-09 조회 874
첨부 hwp 0703d_44.hwp
노성군(魯城郡) 광석면(光石面)의 지역으로 입석천(立石川)과
논산천(論山川) 사이에 있으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논
산리(論山里), 입석리(立石里)의 각 일부와 은진군(恩津郡) 화지
산면(花枝山面)의 반월리(半月里)일부, 연산군(連山郡) 부인처면
(夫人處面)의 창리(倉里)일부를 병합하여 동쪽에 작은 산이 있다
해서 산동리(山東里)라 하여 논산군 광석면에 편입되었다.

행정구역은 산동1리로 되어 있으며 62세대에 230명의 주민이 거
주하고 있다.(1993.12.31 현재) 자연부락은 가름내, 대교촌, 호
산이 등이 있다.

▶자연부락 및 지명유래

가름내[마을] : 호산이 남쪽에 있는 마을로 노성천(魯城川)과 표
진강(漂津江)이 합쳐지는 곳으로 두내가 이곳에서 갈라졌다 하
여 가름내라 하였고, 이내 제방 옆에 조그마한 마을이 있는데 이
마을을 가름내라 한다. 논산에서 국도를 따라 1.5km쯤 공주 방향
으로 가다보면 광석 소재로 들어가는 지방도가 있는 3거리 주변
마을이다.
가름내[내] : 노성촌과 표진강이 합쳐지는 곳으로 이곳에서 두내
가 갈라진다하여 가름내라 하였다. 지금은 논산천이라 부른다.
논산대교(論山大橋)[다리] : 공주에서 산동리를 거쳐 논산으로
들어가고, 부여에서 논산으로 들어가는 다리를 논산대교라 하는
데 행정구역상 논산대교 중앙부분이 산동리와 논산읍 대교리의
경계지점이다.
논산천(論山川)[내] : 옛날에는 표진강이라 했는데, 산동리와 논
산읍 사이로 흘러 강경쪽으로 흐르고 있다. 논산천 공사는 1931
년(소화6년)에 착공하여 1933년(소화8년)에 준공하였다.
대교촌(大橋村)[마을] : 산동리에서 가장 남쪽에 위치하고 있는
마을로 논산대교 제방 아래에 있는 마을이다.
입석천(立石川)[내] : 광석면 항월리에서 발원하여 광석들 중앙
을 지나 성동면 원봉리 선돌을 거쳐 삼산리에서 논산천으로 들어
가는 내로 선돌내라고도 부른다.
표진강( 漂津江)[내] : 지금은 논산천이라 하는데 옛날에는 표진
강이라 하여 양촌 가야곡까지 연결되어 상선이 양촌까지 이르렀
다하며 논산 탑정 저수지가 생기고 제방을 쌓은 후부터 논산천이
라 했다 한다.
호산이(湖山)[마을] : 산동리 북쪽에 있는 마을로 산동리에서는
가장 큰 마을이다. 동북쪽 왕전리(旺田里) 장자못이 들가운데에
있어 마치 호수 가운데의 마을처럼 되어 있고 그옆에 통미 즉 돌
산이 있어 그 모습이 꼭 호수속의 산처럼 보인다 하여「호산(湖
山)」이라 부른다 한다.

*참고-論山地域의 地名由來(1994년12월25일,논산문화원 발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