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메뉴 닫기
서브페이지 배경
장구리(長久里) 게시판 상세보기

[논산문화원] - 지명 내용 상세보기 입니다.

제목 장구리(長久里)
작성자 논산문화원 등록일 2002-05-09 조회 800
첨부  
 
노성군의 지역으로 지형이 장구와 같이 생겼다하여 장구 또는
장구면(長久面)이 되어 구중(九中), 노계(魯溪), 지장(芝庄), 가
곡(佳谷), 중산(中山), 접지산(接枝山), 내촌(內村), 유봉(酉
峯), 대병(大丙), 소병(小丙), 구동(久洞), 사교(沙橋), 덕포(德
浦), 평전(平田), 서변(西邊), 오강(五江), 율리(栗里), 산직(山
直)의 18개리를 관할하다가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구동
리, 사교리의 각 일부와 소사면(素沙面)의 대정리(大井里) 일부
를 병합하여 장구리라 하고 논산군 노성면에 편입되었다.

행정구역은 장구1, 2리로 되어 있으며, 인구는 114세대에 396명
의 주민이 거주하고 있다.(1993.12.31 현재) 자연부락은 장골.
삽다리. 장구동, 장구방죽 등이 있다.

▶자연부락 및 지명유래

구동(九洞)[마을] : 장골이라고도 하며 장구 남쪽에 있는 마을이
다.
도림사지(道林寺址)[터] : 삽다리에 있던 옛도림사의 절터이다.
사교리(沙橋里)[마을] : 삽다리라고도 하며 장구 서쪽에 있는 마
을이다.
삽다리[마을] : 장구 서쪽에 있는 마을로 섶으로 다리를 놓았다
하여 삽다리라 하던 것이 변하여 삽다리 또는 사교리라라고도 부
른다.
삽다릿들[들] : 삽다리 앞에 있는 큰들이다.
섶다리[마을] : 장구 서쪽에 있는 마을로 삽다리라고도 하며 옛
날 섶으로 다리를 놓았었다고 한다.
장골[마을] : 장구 남쪽에 있는 마을로 구동이라고도 한다.
장구(長久)[마을] : 마을 형태가 마치 장구와 같이 생겼다하여
장구 또는 장구리라 하였다.
장구동(長久洞)[마을] : 장구리라고도 하며 마을이 장구와 같이
생겼다 한다.
장구동제(長久洞堤)[마을] : 장구방죽이 있는 마을이라하여 장구
방죽 또는 장구동제라 부른다.
장구방죽[목] : 장구리에 있는 방죽으로 장구동제(長久洞堤)라고
도 한다.
장구방죽[마을] : 장구동제라고도 하며 마을에 장구방죽이 있다.

*참고-論山地域의 地名由來(1994년12월25일,논산문화원 발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