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메뉴 닫기
서브페이지 배경
효죽리(孝竹里) 게시판 상세보기

[논산문화원] - 지명 내용 상세보기 입니다.

제목 효죽리(孝竹里)
작성자 논산문화원 등록일 2002-05-09 조회 833
첨부 hwp 0703d_70.hwp
공주군 곡화천면(曲火川面)의 지역이었는데 마을에 솟대가 박
혀 있어서 솟대배기, 효대배기 또는 효죽이라 하였다. 1914년 행
정구역 폐합에 따라 용연동(龍淵洞) 일부, 봉익동(鳳翼洞), 하반
룡리(下盤龍里)와 노성군 장구면(長久面)의 사교리(沙橋里) 일부
와 소사면(素沙面)의 대정리(大井里) 일부를 병합하여 논산군 노
성면에 편입되었다.

행정구역은 효죽1리로 되어 있으며, 인구는 53세대에 206명의
주민이 거주하고 있다.(1993.12.31 현재) 자연부락은 구로, 반
룡, 봉익동, 솟대배기, 용못안 등이 있다.

▶자연부락 및 지명유래

구로(九老)[마을] : 구릉이라고도 하며 솟대배기 남쪽에 있는 마
을이다.
구룰[마을] : 솟대배기 남쪽에 있는 마을로 구로(九老)라고도 부
른다.
바룡[마을] : 반룡이라고도 하며 용연리 동쪽에 있는 마을이다.
반룡(盤龍)[마을] : 용연리 동쪽에 있는 마을로 반룡형(盤龍形)
의 명당이 있다하여 바룡 또는 비룡이라고도 부른다.
봉익동(鳳翼洞)[마을] : 구룰 서쪽에 있는 마을이다.
비룡[마을] : 바룡 또는 반룡이라고도 하며 용연리 동쪽에 있는
마을이다.
솟대배기[마을] : 효죽리라고도 하며 옛날 효자 솟대가 있었던
마을이라 한다.
용못[못] : 용연 앞에 있는 못으로 옛날 용이 올라갔다 한다.
용못안[마을] : 솟대배기 북쪽에 있는 마을로 용못 안쪽에 있으
므로 용못안 또는 용연, 용연리라 부른다.
용연(龍淵)[마을] : 용못안에 있는 마을로 용연 또는 용못안이
라고 부른다.
용연동(龍淵洞)[마을] : 용못안이라고도 하며 용못안에 있는 마
을이다.
효대배기[마을] : 효자가 있었던 마을로 입구에 크게 효대 깃발
을 세웠다 하여 효대배기라 불렀다 한다.
효죽(孝竹)[마을] : 효대배기 또는 솟대배기 효죽리라고도 하며
옛날 효자 솟대가 박혀 있었다고 한다.

▶효대백이

노성면 효죽리를「솟대배기」,「효대배기」,「효죽」이라고도
부른다.
옛날 이마을에 부모님께 효성이 지극한 효자 한사람이 살고 있
었다. 어느날이었다.나무를 하러 석성천을 지나는데 처음보는 물
고기들이 냇가에서 놀고 있었다. 그는 매일 물고기를 잡아다가
부모님께 봉양하였다. 부모님의 얼굴에는 화기가 돌기 시작하였
다. 얼마후 부모님께서 천수를 다하여 죽고 말았다. 부모님이 돌
아가신 후 석성천에 가보니 그렇게 많던 물고기가 한 마리도 없
었다. 그루 사람들은 그의 효심이 하늘까지 감동시켜 물고리를
보냈다하여 마을 입구에 효대 깃발을 높이 세웠다. 이때부터 마
을 이름을 효대백이 또는 솟대배기라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참고-論山地域의 地名由來(1994년12월25일,논산문화원 발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