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덕목리(德木里) | ||||
---|---|---|---|---|---|
작성자 | 논산문화원 | 등록일 | 2002-05-09 | 조회 | 776 |
첨부 | |||||
마을에 늙은 떡갈나무가 있는데 나라에 변란이라도 있으면 소리
를 내어 미리 알려주어 이 나무를 덕나무라 부르게 되었는데 마 을에 덕나무가 있는 마을이라하여 덕목리라 한다고 한다. 본래 연산군 벌곡면의 지역이었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점 동(店洞), 귀암리(貴岩里), 대동(垈洞)일부를 병합하여 덕목리 라 하고 논산군 벌곡면에 편입하였다. 1989년 충청남도지사, 대 전지방검찰청 검사장으로부터 법죄없는 마을로 지정 되었다. 행 정구역은 덕목1리로 되어 있으며, 33세대에 97명의 주민이 거주 하고 있다.(1993.12.31 현재) 자연부락은 농막골, 덕목, 점골 등 이 있다. ▶자연부락 및 지명유래 개무덤[묘] : 덕목리와 양촌 경계에 개의 무덤이 있다. 귀골[골] : 배티재 위쪽에 있는 골짜기이다. 농막골(農幕)[마을] : 덕목 옆에 있는 마을로 옛날 여기에 농부 들이 농사를 지으며 휴식을 취하던 농막이 있었다고 하며 농막동 이라고도 부른다. 농막동(農幕洞)[마을] : 농막골이라고도 하며 덕목 옆에 있는 마 을이다. 덕나무[나무] : 나라에 변란이 있을 때 소리를 내어 미리 알려주 어 덕을 쌓은 나무라 하여 덕나무라 부른다. 덕목(德木)[마을] : 이 마을에 늙은 떡갈 나무가 있어서 나라에 변란이 있으면 소리를 내어 미리 알려주어 이 나무를 덕나무라 하였는데 덕나무가 있는 마을이라 하여 덕목 또는 덕목리라 부르 게 되었다고 한다. 닭모랭이[모퉁이] : 농막골 입구 고속도로 옆에 있는 모퉁이를 말한다. 덕목리(德木里)[마을] : 덕목이라고도 한다. 덕목재[고개] : 덕목에서 양촌면 산직리로 넘어가는 고개로 덕목 티라고도 한다. 덕목티(德木峙)[고개] : 덕목재라고도 하며 덕목에서 양촌면 산 직리로 넘어가는 고개이다. 뒷목[마을] : 덕목 뒤에 있는 마을이다. 뒷목성(城)[산성] : 덕목 뒷산에 있는 산성으로 백제군과 신라군 의 싸움이 치열하였다고 한다. 배티재[고개] : 농막골에서 검천리로 넘어가는 고개이다. 보광암[절] : 덕목리에 있는 암자 불당곡(佛堂谷)[골] : 뒷목 뒤에 있는 골짜기이다. 불당골[골] : 불당곡이라고도 하며 뒷목 뒤에 있는 골짜기이다. 삼목지지(三木之地)[피난지] : 옛말에 피난지로 연동진남(連東鎭 南)에 삼목지지가 있다고 했다. 즉 연산의 동쪽 진잠의 남쪽이 란 곳인데 이는 벌곡면의 덕목리와 사정리의 척고목(尺古木) 그 리고 만목리의 삼목지를 삼목지지라 하는데 여기는 임진왜란때 나 6.25때에 많은 피난민들이 모여 들었다고 한다. 전진암(前進岩)[바위] : 덕목에 있는 바위로 백제군사들이 신라 군과 싸울 때 이 바위에서부터 전진하였다하여 전진암이라 부른 다고 한다. 절골[골] : 절터 올라가는 골짜기이다. 절터[터] : 뒷목 뒷산에 옛절터가 있다. 점골[마을] : 덕목 북동쪽에 있는 마을로 옛날 옹기점이 있었다 고 하여 점동이라고도 부른다. 점동(店洞)[마을] : 점골이라고도 하며 덕목 북동쪽에 있는 마을 이다. 중골[마을] : 농막골 북동쪽에 5가구가 살고 있는 마을이다. 헛가미골[골] : 배티재에 있는 골짜기이다. *참고-論山地域의 地名由來(1994년12월25일,논산문화원 발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