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수락리(水落里) | ||||
---|---|---|---|---|---|
작성자 | 논산문화원 | 등록일 | 2002-05-09 | 조회 | 1029 |
첨부 | |||||
대둔산에서 흐르는 물이 바위 틈으로 흘러서 떨어질 때 진경이
라 하여 수락리 또는 무수골 이라고도 부른다. 본래 연산군 벌곡 면의 지역이었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신고운리(新孤 雲里), 상벌곡리(上伐谷里), 일부를 병합하여 수락리라 하고 논 산군 벌골면에 편입하였다. 행정구역은 수락1, 2리로 되어 있으며, 77세대에 236명의 주민 이 거주하고 있다.(1993.12.31 현재) 자연부락은 무수골, 무수 티, 상벌곡, 수락, 신고운 등이 있으며, 수락리 대둔산 계곡은 계곡이 깊어 물이 맑고 차가워서 여름철 피서지로서도 유명하다. ▶자연부락 및 지명유래 깃대봉[산봉] : 대둔산의 최상봉에 있으며 여기에서 들을 굴이 면 수락기에서 떨어진다고 전해온다. 달이산성(達伊山城)[산성] : 수락리와 양촌면 오산리 경계에 있 는 산성으로 옛날 달이라는 도적이 이곳에 웅거하였던 산성이라 하여 달이 산성이라 부른다. 대둔산성(大芚山城)[산성] : 백제 둥부사령관할의 산성으로 전초 적 역할을 했던 산성이다. 무수골[마을] : 수락리를 무수골이라고도 부른다. 무수재[고개] : 신고운에서 양촌면 오산리로 넘어가는 고개로 무 구티라고도 한다. 무수티(舞袖峙)[마을] : 신고운에서 양촌면 오산리로 넘어가는 무수재 아래에 있는 마을로 상보실 남쪽에 있는데 선인무수형(仙 人舞袖形)의 명당이 있는 마을이라 하여 무수티라 부른다고 한 다. 무수티(舞袖峙)[고개] : 신고운에서 양촌면 오산리로 넘어가는 고개로 무수재라고도 한다. 상벌곡(上伐谷)[마을] : 상보실이라고도 하며 벌실의 위쪽에 있 는 마을이라 하여 상벌곡이라 하며 수락리에서 가장 큰 마을이 다. 상보실[마을] : 상벌곡이라고도 하는데 수락리에서 가장 큰 마을 이다. 대둔산에서 흐르는 물줄기에 보가 셋이 있는데 이 마을에 있는 보가 맨 위에 있다하여 상보실이라 부른다고 한다. 석천사(石泉寺)[절] : 신고운사 아래에 있는 절로 이곳에 석천폭 포가 있다. 석천폭포[폭포] : 신고운사 절 아래에 있는 석천사에 있는 폭포 이다. 송촌(松村)[마을] : 송림 속에 쌓여 있는 마을이라 하여 송촌이 라 부른다. 수락(水落)[마을] : 대둔산에서 물이 흘러 떨어질 때 진경이라 하여 수락리라 부른다고 한다. 신고운(新孤雲)[마을] : 무수티 남서쪽에 있는 마을로 신고운사 절이 있다. 신고운사(新孤雲寺)[절] : 무수티 남서쪽 신고운에 있는 절로 처 음엔 양산리 고운산에 있었으므로 그곳을 구고운사라 하고 이곳 에 옮겨 신고운사라 하였는데 6.25당시 대둔산 공비 토벌작전시 전화로 타 버렸다. 용추(龍湫)[못] : 상보실 대둔산 아래 용이 승천한 연못이라 하 여 용추라 부른다. 허둔곡(許屯谷)[골] : 대둔산 계곡에 허둔곡이란 골짜기가 있는 데 백제때 허둔이란 장군이 여기에 은거하였다 한다. ▶신고운사지(新孤雲寺址) 벌곡면 수락리에 신고운사지가 있다. 수락리 대둔산 북쪽 입구 에 위치하고 있는데 벌곡면 양산리에 있던 구고운사가 임진왜란 때 폐사되고 그 사찰을 이곳으로 이전하였다고 한다. 절터는 약 800평 규모로 불적은 거의 없고 수습되는 기와조각에 서 “사(寺)"자가 시문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사지임을 알게 할 뿐이다. *참고-論山地域의 地名由來(1994년12월25일,논산문화원 발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