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덕평리(德坪里) | ||||
---|---|---|---|---|---|
작성자 | 논산문화원 | 등록일 | 2002-05-09 | 조회 | 867 |
첨부 | |||||
원래 연산군 외성면(外城面)의 지역이었는데 넓은 들이 있는 마
을이라 하여 덕들 또는 덕평(德坪)이라 부르게 되었다고 하며, 조선시대 원님 들이 가마를 타고 한양으로 오갈 때 다 보인다하 여 가마들이라고도 부른다고 한다.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 라 부황리(夫皇里), 다오개리(多五介里), 관학리(觀學里), 묵동 (墨洞), 용구산리(用九山里)의 각 일부와 부인처면(夫人處面)의 신전리(薪田里), 마구평리(馬九坪里)의 각 일부와 노성군 두사면 (豆寺面)의 마무리(馬頭里) 일부를 병합하여 덕평리라 하고 논산 군 부적면에 편입하였다. 행정구역은 덕평1, 2, 3리로 되어 있으며 168세대에 598명의 주 민이 살고 있다.(1993.12.31 현재) 자연부락은 가맛들, 관학골, 덕계펄, 덕들, 먹골, 수랑골, 용구매, 원두골, 풋개다리 등이 있 다. ▶자연부락 및 지명유래 가마평(駕馬坪)[마을] : 덕계펄 서쪽에 있는 마을로 옛날 원님들 이 가마를 타고 오갈 때 다보인다 하여 가마평 또는 가맛들이라 부른다고 한다. 지금은 논이 되어 마을은 없어졌다. 가맛들[마을] : 가마평이라고도 하며 덕계펄 동쪽에 있는 마을이 다. 가장골[마을] : 부처골과 호남선 철도 터널 사이에 있는 마을인 데 자진 철거되었다. 개금벌[마을] : 수랑골과 논산에서 대전으로 향하는 국도 사이 에 있던 마을이다. 관학곡[마을] : 관학골이라고도 하는데 용구미 동쪽에 있는 마을 로 지형이 마치 황새처럼 생겼다하며 학이 많이 와서 서식하여 학을 관망하는 마을이라 하여 관학곡 또는 관학골이라고도 부른 다 한다. 관학골[마을] : 관학곡이라고도 하며 용구미 동쪽에 있는 마을이 다. 괴똥이마[마을] : 먹골이라고도 하며 덕평 남쪽에 있는 마을이 다. 덕계펄(德溪)[마을] : 덕평 앞 들판 덕계펄에 있는 마을로 덕계 평이라고도 하는데 논이 되어 마을은 없어졌다. 덕계펄[들] : 덕평 앞에 있는 넓게 펼쳐진 들판이다. 덕계평(德溪坪)[마을] : 덕계펄이라고도 하며 덕평앞 들판에 있 는 마을이다. 덕들[마을] : 넓은 들이 있는 마을로 덕평이라고도 한다. 덕평(德坪)[마을] : 덕평리라고도 하며 넓은 들이 있는 마을이 다. 덕평방죽[못] : 덕평리에 있는 방죽인데 경지정리로 없어졌다. 도깨비방죽[못] : 먹골과 용구미 사이에 있던 방죽인데 경지정 리 사업으로 논이 되었다. 마름둥벙[못] : 가맛들 마을 속에 있던 둠벙인데 1965년 경지정 리 사업으로 없어졌다. 먹골[마을] : 덩평 남쪽에 있는 마을로 묵동이라고도 하며 옛날 마을주변이 울창한 숲으로 둘러싸여 있었고 서생들이 모여 글을 읽던 곳이라고 한다. 모랭이터널[터널] : 가장골과 연산천 제방사이에 있는 터널이다. 명당자리[산] : 수랑골 동쪽에 있는 산인데 풍수지리상 연화부수 (蓮花浮水)형의 명당자리가 있다고 하며 잘 세운 비(碑)가 있었 는데 비를 세워 물이 엎질러져서 연꽃에 물이 고이질 않아 명당 세가 없어진다 하여 비를 쓰러뜨렸다고 하며, 그 비는 지금도 쓰 러져 있는채 세우질 않고 있다고 한다. 무넴이[마을] : 덕평펄과 연산천 제방사이에 있던 마을인데 1966 년 경지정리 사업으로 없어졌다. 묵동(墨洞)[마을] : 먹골이라고도 하며 덕평 남쪽에 있는 마을이 다. 방죽안[마을] : 관악골과 부엉이 마을 중간에 있던 마을인데 마 을 앞에 방죽이 있었다. 부첫골[골] : 덕계펄 위쪽에 있는 골짜기인데 옛날 운제사가 있 었던 곳으로 지금도 석조 여래입상이 있다. 부처가 있는 골짜기 라 하여 부첫골이라고 부르며 불곡이라고도 한다. 불곡(佛谷)[골] : 부첫골이라고도 하며 덕계펄 위쪽에 있는 골짜 기로 지금도 부처가 있다. 쇠마답[마을] : 먹골과 덕평리 사이에 있던 마을인데 지금은 없 어졌다. 쇳고지[들] : 덕평옆 용구미 뒤에 있는 들을 말한다. 수랑골[마을] : 수랑동이라고도 하며 원두골 옆에 있는 마을로 마을 앞 논에 수랑이 많이 있다. 서낭당고개[고개] : 덕평리에서 부황리로 넘어가는 고개로 서낭 당이 있다. 옛날에는 마을 사람들이 여기에서 치성을 드렸고 길 손들이 소원을 빌며 던지고간 둘무더기가 있었다. 수랑동(水浪洞)[마을] : 수랑골이라고도 하며 원두골 옆에 있는 마을이다. 영락원[산] : 원두골에 있는 산이다. 오백량둠벙[못] : 덕평펄과 초포사이에 있던 둠벙인데 경지정리 사업으로 없어졌다. 오백량틈[제방] : 덕평펄과 초포사이에 있던 제방인데 1966년 경 지정리로 없어졌다. 용구매[마을] : 용구미라고도 하는데 덕평 남서쪽에 있는 마을 로 뒷산이 마치 용의 꼬리와 같이 생겼다 한다. 용구미[마을] : 용구매 또는 용구산, 용구산리 라고도 하며 덕 평 남서쪽에 있는 마을이다. 용구산(龍九山)[마을] : 용구미라고도 하는데 용 아홉 마리가 땅 속에서 꿈틀거리는에 용한마리의 꼬리만이 지금의 지형을 이루 고 있다고 한다. 용구산리[마을] : 용구미라고도 하며 덕평 남서쪽에 있는 마을이 다. 원고개[고개] : 덕평리와 부황리 경계에 있던 고개로 성황당이 있다. 원두곡(元頭谷)[마을] : 원두골이라고도 하며 관학골 남동쪽에 있는 마을이다. 원두골[마을] : 관학골 남동쪽에 있는 마을로 원두곡이라고도 한 다. 전망대(展望臺)[놀이터] : 덕평리와 부황리 경계에 있는 산위에 1966년 놀이터로 만들었는데 들 가운데 산이 있어 전망이 아주 좋다. 천자강[못] : 500량 틈의 서쪽에 있던 큰 방죽으로 1965년 경지 정리 사업으로 없어졌다. 초포교(草浦橋)[마을] : 풋개다리라고도 하는데 초포교 옆에 있 는 마을이다. 초포교(草浦橋)[다리] : 풋개다리라고도 하며 덕평리에서 한양으 로 오가던 중요한 다리였다. 통안[마을] : 덕평 서쪽 철도 옆에 있는 마을이다. 풋개다리[마을] : 초포교 옆에 있는 마을로 초포교라고도 한다. 풋개다리[다리] : 초포교라고도 하며 부적면과 광석면 경계에 있 는 다리이다. *참고-論山地域의 地名由來(1994년12월25일,논산문화원 발행) |